지난해 우리나라 국민순자산(국부)이 1경6,621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대부분 부동산 가격 상승 영향으로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토지자산 규모는 1995년 집계 이후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21일 한국은행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우리 경제의 재산 상태를 나타내는 국민순자산은 2019년 말 1경6,621조5,000억원으로 전년보다 6.8%(1,057조7,000억원) 증가했다. 이는 명목 GDP(1,919조원) 대비 8.7배 수준으로 전년(8.2%)보다 증가했다.
한은 관계자는 “해외 직접투자와 증권투자 확대로 대외금융자산이 늘어나면서 순대외금융자산이 늘어났다”며 “토지자산을 중심으로 비생산자산이 증가한 영향도 받았다”고 말했다.
비금융자산은 순자산의 96.5%인 1경6,041조5,000억원을 기록했다. 이 가운데 생산자산인 건설자산은 309조7,000억원(6.1%) 늘었고, 설비자산은 45조7,000억원(5.2%) 늘었다. 비생산자산 중에서는 토지자산은 541조4,000억원(6.6%)이 증가했다.
특히 명목 GDP 대비 토지자산 비율은 4.6배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토지자산 전체 규모는 8,767조원이다. 2007년 4.4배였던 토지자산의 GDP 대비 비율은 2013년 4.0으로 낮아졌다가 2017년 4.2배, 2018년 4.3배 등으로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GDP가 1.1% 늘어나는 사이 토지자산 가격은 6.6%나 늘었기 때문이다.
수도권 집중 현상은 2012년 세종시 출범과 2013년 지방 혁신도시 개발 등으로 완화되는 추세였으나 2018년부터 다시 증가세로 전환했다. 수도권 지역의 토지자산 비율은 2010년 61.7%에서 2017년 56.6%까지 낮아졌다가 2018년 56.9%로 증가했다.
/조지원기자 jw@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