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文 대통령 ‘백신·부동산’ 차분한 답변…시민들 “무슨 말이냐” 부글부글

첫 온·오프라인 병행 회견 靑 진땀

리허설 4번에도 화상 연결 끊기기도

文 어조는 차분했지만 말실수 논란

文 “입양아도 마음에 안 들면 교체”

시민들 “무슨 이런 말실수를 하느냐”

대출규제 완화엔 “전세 대책 마련”

“내 집 마련 급한데 동문서답 해”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열린 신년 기자회견에서 물을 마시고 있다./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의 2021년 첫 기자회견. 청와대는 긴장했지만 문재인 대통령은 차분했다. 하지만 그 답을 듣는 국민들은 어리둥절한 반응들을 보였다. 네 번의 리허설이 무색하게도 진행은 매끄럽지 않았고 메시지는 혼란스러웠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극복을 위한 백신 확보 현황과 부동산 대책 실패, ‘정인이 사건 방지 대책’ 등과 관련해 문 대통령이 내놓은 답변에 시민들은 불편한 기색을 숨기지 않았다.
文, 행사진행 실수·예민한 질문도 차분히 답변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열린 신년 기자회견에서 기자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연합뉴스


18일 헌정 사상 첫 온오프라인 대통령 회견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인해 철저한 방역 조치 속에서 진행됐다. 회견 현장인 청와대 춘추관 브리핑룸에 입장한 기자는 20명으로 제한됐고 나머지 100명은 화상으로 참여했다.

회견장 배경에는 ‘2021 위기에 강한 나라 든든한 대한민국’이라는 문구가 새겨졌다. 회견이 시작되기 전 장내에는 가수 이적의 노래 ‘당연한 것들’이 흘러나왔다. 이 노래는 이적이 코로나19로 지친 이들을 위한 희망의 메시지를 담아 직접 작사·작곡해 지난해 4월에 공개한 곡이다.

문 대통령은 시작 시각에 맞춰 빗금무늬가 들어간 붉은색 넥타이를 매고 회견장에 입장해 착석한 뒤 마스크를 벗었다. 마이크를 쥔 문 대통령은 차분하고 안정된 어조로 회견을 진행했다. 문 대통령은 “화면이 쪼개져 있어 개인적 식별이 어려워 부득불 번호로 진행해야 할 것 같다”고 양해를 구했다. 취재진은 각자 번호표를 들어 질문을 신청했다.

첫 온라인 회견인 탓인지 중간중간 화상 연결이 매끄럽지 않은 상황이 연출됐다. 한 기자는 질문권을 얻었지만 음성이 제대로 나오지 않아 결국 질문을 포기해야 했고, 한 외신 기자의 경우 세 차례나 질문을 반복해야 했다.

이런 상황에서도 문 대통령은 코로나 방역과 부동산 문제는 물론 외교·안보 현안에 대해 막힘없이 차분하게 설명해나갔다. 또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추문 등 예민한 질문에는 잠시 생각에 잠기기도 착잡한 듯 한숨을 내쉬기도 했다.

시민들, 文 ‘방역·부동산·입양아 대책’ 듣고
“보다가 껐다” “무슨 이런 말이 있느냐” 비판




코로나19 확산에 그동안 중단됐던 실내체육시설과 노래연습장, 학원 등 다중이용시설의 운영이 부분적으로 재개된 18일 오전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화이트짐 역삼점에서 회원들이 운동하고 있다./연합뉴스


같은 시간인 오전 10시. 서울의 한 헬스장의 러닝머신들에 설치된 스크린마다 채널이 변경되며 문재인 대통령의 얼굴이 떴다. 집합금지 명령이 내려졌던 헬스장은 이날부터 제한적으로 운영이 시작됐다. 오전부터 헬스장을 찾은 사람들은 운동을 하는 와중에도 문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에 집중했다.

하지만 문 대통령이 백신 접종 계획과 관련해 “늦어도 11월에는 (우리나라가) 집단면역이 완전하게 형성될 것”이라고 말하자 사람들은 실망한 기색이 역력했다. 특히 이날 헬스장의 문을 다시 열었던 관리인은 “지금이 1월인데 11월이라니 너무 한가한 이야기를 하는 게 아니냐”며 분통을 터트렸다.

시민들은 외교와 안보, 두 전직 대통령의 사면에 대해서는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 하지만 문 대통령이 최근 국민적인 공분을 산 ‘정인이 사건’의 대책을 말하며 “일정 기간 안에는 입양 취소한다든지 여전히 입양하고자 하는 마음은 강하지만 아이랑 맞지 않을 경우 바꾼다든지…”라고 말하자 “저게 무슨 말이냐”고 되물었다. 40대 주부 C씨는 “처음 들었을 때는 말실수를 하는 줄 알았다”며 “말실수라고 해도 ‘일정 기간 안에 바꾼다’며 아이를 물건처럼 말하는 무슨 저런 표현이 있느냐”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아동학대가 발생하면 아이를 분리시키는 대책인 것 같은데 말하는 방식에 완전히 실망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청와대는 “아이를 파양시키자는 것이 전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청와대의 한 핵심 관계자는 “입양의 관리와 지원을 활성화하자는 취지였다”면서 “구체적으로 아이 입장에서 새 가정을 모니터링하는 사전위탁보호제를 염두에 뒀다”고 설명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열린 신년 기자회견에서 기자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연합뉴스


30대, 40대 직장인들은 문 대통령이 언급하는 부동산 문제에 귀를 기울였다. 문 대통령이 “결국 부동산 안정화에 성공하지 못했다”고 말하며 시중 유동성이 부동산으로 몰리고 우리나라에서 61만 세대가 증가해 수요를 잘못 예측했다는 취지로 답했다. 또 실수요자가 집을 살 수 있게 대출규제를 완화할 계획에 대해서는 “전문적이라 답변드리기 어렵다. 대통령이 마치 지침을 내리는 듯한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설 전에 주택공급대책과 전세대책을 내놓겠다고 했다. 이에 대해 30대 직장인 A씨는 “할 말을 잃었다”며 “2017년 서울 옆 신도시에 30평대가 4억 원대였는데 지금은 8억 원을 향해 가고 있는데 4년 만에 내놓은 대답이 너무나 안이했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30대 직장인 B씨는 “듣다가 꺼버렸다”며 “대출규제를 풀어 내 집을 사게 해달라는데 전세대책을 내놓겠다는 말에 황당했다”고 말했다. /구경우·허세민 기자 bluesquar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