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3일 신현수 청와대 민정수석이 거취를 일임하고 청와대로 복귀한 것과 관련해 명확한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이에 따라 신 수석과 박범계 법무부 장관의 ‘불안한 동거’ 체제는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런 가운데 청와대가 정무수석실 강화 등 조직 개편을 추진하다 보류한 것으로 알려져 이번 사태와 관련이 있는 것 아니냐는 해석도 뒤따른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서울경제와의 통화에서 “신 수석 거취에 대한 고민은 대통령의 영역”이라면서 “별다른 말씀은 없으셨다”고 밝혔다. 여권에서는 신 수석의 향후 거취와 관련해 ‘일시적 유임’ 가능성이 흘러나오지만 문 대통령의 마지막 민정수석이 될 것이라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이번 사태로 신뢰에 금이 갔다는 평가도 있지만 문 대통령에게 신 수석은 ‘참모 이상’의 의미가 있어 어떻게든 관계를 재정립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실제 문 대통령과 신 수석은 지난 2004년 참여정부 청와대에서 민정수석과 사정비서관으로 처음 인연을 맺었고 2012년 대선 때 신 수석이 문재인 캠프 법률지원단장을 맡으며 관계가 더 끈끈해졌다. 현 정부 출범 이후 문 대통령의 핵심 공약 사항인 국정원 개혁을 이끈 것도 신 수석(전 국정원 기획조정실장)이다.
이에 따라 청와대와 여권 내부에서는 중대범죄수사청 등 검찰 개혁의 완급 조절을 통해 신 수석의 면을 세워주려는 움직임이 포착된다. 전날 단행된 검찰 중간 간부급 인사에서도 신 수석의 의견이 반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가 조직 개편을 보류한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은 움직임일 수 있다. 청와대는 최근까지 일부 비서관실의 통폐합을 검토했고 이 과정에서 정무수석실에 기획 기능을 담당할 비서관을 신설하자는 주장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비서관실 통폐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면서 개편은 미뤄진 것으로 보인다. 여권 관계자는 “청와대 내에서 정무 라인에 지나치게 힘이 실린다는 일각의 목소리와 최근의 어수선한 분위기가 반영된 것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다만 이미 사의를 표명한 민정수석실 비서관들의 교체는 조만간 이뤄질 예정이다.
/윤홍우 기자 seoulbird@sedaily.com, 허세민 기자 semin@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