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오색인문학] 돌·연꽃·나무에 스며든 성리학의 향기

■나무로 읽는 역사 이야기

- 서석지: 세상 가장 아름다운 연못

강판권 계명대 교수·사학

정치 싫어 낙향한 성리학자 정영방

신선 노닐 듯 구름이 봉우리 감싸 듯

물 속에 모습 보인 돌들에 반해 조성

'연당'에 있어야 할 연꽃 사라졌지만

소나무·매화 등 四友엔 공자 느껴져

서석지 전경




믿음은 인간 생존의 중요한 조건이다. 인간이 믿음을 중시한 것은 스스로 배신하기 때문이다. 중국 춘추 말 공자가 군대와 식량보다 믿음을 중시한 것도 배신을 일삼는 인간의 태도를 꿰뚫어 봤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간은 배신하지 않는 대상을 믿음의 표상으로 삼았다. 이러한 사례는 정영방(鄭榮邦, 1577-1650)의 서석지(瑞石池, 중요민속자료 제108호)에서도 만날 수 있다. 경상북도 영양군 입암면 연당리에 위치한 서석지는 성리학 공간 중 보기 드물게 연못 자체가 문화재다. 정영방이 서석지를 만든 것은 당시의 정치 혼란 때문이었다. 경학(經學)과 당시(唐詩)에 조예가 깊었던 그는 스승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 1563-1633)가 관직에 나갈 것을 여러 번 권했지만, 경북 진보(眞寶:지금의 청송)에 내려와 학문 연구에 전념하다가 병자호란 이후 영양군 연당리로 옮겨 서석지를 만들었다.

서석지 사우단


정영방이 서식지를 조성한 것은 그의 호인 석문(石門)과 잘 어울린다. 관직에 나아가지 않은 정영방의 삶은 하늘이 부여한 천성을 회복하기 위한 ‘위기지학(爲己之學)’을 실천한 조선 시대 성리학자의 본보기였다. 그가 서석지를 조성한 것은 물 속에서 돌 빛이 희게 보이는 석영사암(石英砂岩)에 반했기 때문이다. 정영방은 자연 생태에 인문 생태를 더 하기 위해 돌 모양에 따라 신선이 노니는 돌[仙遊石], ‘구름 봉우리 모양의 돌[祥雲石], 물고기 모양의 돌[魚狀石], 별이 떨어진 돌[落星石] 등의 이름을 붙였다. 돌마다 이름을 붙인 정영방의 태도는 인문학의 가치가 무엇인지 잘 보여준다. 왜냐하면 인문학은 기본적으로 어떤 것에 의미와 가치를 부여하는 학문이기 때문이다. 인간이 스스로 행복하기 살기 위해서는 가치의 삶을 추구해야 하고, 가치의 삶은 곧 자신의 삶에 의미와 가치를 부여할 때 가능하다. 그래서 서석지는 단순히 상스러운 돌이 있는 연못이 아니라 돌 속에 자신만이 추구하는 가치를 부여한 곳이기 때문에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문화 공간이다.

정영방이 어떤 사람인지, 어떤 삶을 추구했는지 이해하기 위해서는 서석지의 건물과 식물의 인문적인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우선 서석지가 위치한 지명인 ’연당(蓮塘)‘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연꽃 못’을 의미하는 연당은 서석지에 연꽃에 살고 있다는 뜻이고, 동네 이름도 여기서 유래한다. 그러나 내가 오래전 이곳을 찾았을 때 살았던 연꽃이 사라지고 없다. 왜 연꽃이 사라졌을까. 그 이유는 서석지를 관리하는 사람들이 성리학 공간의 연꽃이 지닌 의미를 몰랐기 때문이다. 왜 서석지에 연꽃이 있어야 하는지 알려면 이곳 건물인 경정(敬亭)과 주일재(主一齋)의 의미를 알아야만 한다. 경정의 ’경‘은 중국과 한국의 성리학자들이 실천한 공부법 중 하나이고, 주일재의 ’주일‘은 중국의 북송 시대 정이(程?, 1033 ?1107)가 ’경‘을 해석한 ’주일무적(主一無適)‘에서 빌린 것이다. 즉 경은 ’하나를 잡고 가지 않는다‘는 집중의 뜻이다. 연꽃은 정이의 스승인 북송 주돈이(周敦?, 1017-1073)의 ’연꽃을 사랑하는 ‘이야기‘, 즉 ’애련설(愛蓮說)‘ 때문에 성리학자의 공간에 심었던 것이다. 연꽃과 경정과 주일재는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 주일재 마루 안쪽의 현판 ‘운서헌(雲棲軒)’의 ‘운’은 조선 성리학에 절대적인 영향을 준 남송 주희의 호 중 하나인 운곡산인(雲谷山人)에 빌린 것이다.



서석지에 있는 은행나무


서석지 사우단(四友壇)의 소나무·대나무·매화·국화 등 식물과 은행나무는 정영방과 성리학자의 정신 세계를 이해하는데 빠질 수 없다. 소나무·대나무·매화·국화를 ‘사우’라 부른 것은 식물을 인격화한 사례이고, 공자가 제자를 가르친 ‘행단(杏壇)’의 ‘단’과 맞닿아 있다. 그러나 행단의 주인공은 서석지에 살고 있는 암은행나무다. 조선의 성리학 공간에 살고 있는 은행나무는 살구나무를 의미하는 ‘행’의 문화 변용이다. 그런데 서석지 입구 근처에 현재 살구나무가 한 그루가 살고 있다. 서석지의 또 다른 성리학 상징 나무는 은행나무 앞에 살고 있는 측백나뭇과의 늘푸른큰키나무 향나무다. 아직 나이는 어리지만 이곳 두 그루의 향나무는 공자의 정신을 상징한다. 서석지 입구의 콩과 갈잎큰키나무 회화나무도 성리학자를 상징하는 학자수(學者樹)다. 그런데 서석지 입구 은행나무 안내 표석 옆에도 아주 어린 회화나무 한 그루가 살고 있다. 서석지 안 콩과 갈잎떨기나무 박태기나무는 형제의 우애를 상징한다.

서석지 향나무


서석지는 올곧은 조선 시대 성리학자 정영방의 삶이 고스란히 녹아 있는 문화 공간이다. 특히 서석지에는 성리학을 상징하는 모든 식물이 살고 있기 때문에 조선의 ‘정자 문화’를 연구하는 데 아주 소중하다.

/여론독자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