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일본 등 자동차 강국이 미래차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사활을 걸고 있다. 미국의 조 바이든 행정부는 전기차 전환을 위한 로드맵을 공개했고 일본 도요타자동차는 오는 2030년까지 총 41조 원을 투자한다.
반면 우리 자동차 산업은 글로벌 공급망 붕괴와 원자재 가격 상승 등에 따른 부품 업체들의 수익성 악화로 줄도산이 벌어지면서 생태계 붕괴 위기에 처했다. 미래차 전환을 위한 그랜드플랜이 마련되지 않으면 자동차 생태계가 공멸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도요타는 14일 발표한 ‘탄소 중립 실현을 향한 전동화 전략’에서 2030년까지 30종의 순수 전기차 모델을 선보여 전 세계에 350만 대를 판매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2035년부터는 순수 전기차 모델만 판매한다. 하이브리드(HEV)·수소차(FCEV) 등 라인업 다양화로 탄소 중립을 도모하면서 중장기적으로는 순수 전기차로 전환한다는 것이다. 전기차의 핵심인 배터리 투자 규모도 1조 5,000억 엔(약 15조 5,000억 원)에서 2조 엔으로 늘린다.
바이든 미 행정부도 전기차 전환 로드맵을 실행하기 위한 전략 마련에 나섰다. 연방정부 전략에는 2030년까지 신차의 절반을 전기차로 교체한다는 목표를 실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담길 예정이다. 정부 간 협업 체계 구축을 위해 전기차자문위원회를 설치하고 전국적인 표준 지침을 내년 5월까지 만드는 것이 핵심이다. 미국 의회는 지난달 전기차 충전소 설치용 예산 75억 달러를 포함한 1조 2,000억 달러 규모의 인프라 예산 법안을 통과시켰다. AP통신은 “전기차 시장에서 중국을 뛰어넘는다는 게 바이든 정부의 목표”라고 전했다.
미국·일본과 달리 미래차 전환에 대한 세부 플랜이 부족한 우리나라는 부품 업체들이 고사 위기에 처했다.
서울경제가 상장 부품 업체의 지난 3분기 실적을 분석한 결과 중견 부품 업체의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52.3%나 줄었고 중소기업은 98.8%나 급감했다. 수익성 악화로 일부 부품 업체는 법정관리라는 최악의 사태에 몰리고 있다.
정만기 자동차산업협회 회장은 “코로나19와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경영이 악화되는 와중에 미래차 전환이라는 대 전환기까지 겹쳐 자동차 업계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며 “생산 유연성, 규제 개선, 정부 지원 등을 통해 기술 변화에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