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대유행으로 일일 확진자가 4만 명에 육박하자 방역 당국은 고위험군에 치료 역량을 집중하는 체계로 대응 방식을 전환하기로 했다. 밀려드는 확진자들을 모두 재택치료자로 관리하기 어려워 꺼내든 ‘고육지책’인 셈이다. 일반 확진자는 스스로 건강 상태를 체크하면서 증상이 악화하면 동네 병·의원 등에서 비대면 진료를 받게 된다. 위치기반시스템(GPS)이 탑재된 자가격리 애플리케이션도 없어져 자율적으로 격리 생활을 하면 된다. 일각에서는 바뀐 재택치료 체계로 인해 확진자가 관리가 어려워지면서 감염이 확산하고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7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정부는 이날부터 재택치료 환자를 60세 이상, 코로나19 경구용(먹는) 치료제 처방 대상자(50대 이상 면역 저하자와 기저 질환자) 등 집중관리군과 일반관리군 환자로 분류해 집중관리군 환자를 중심으로 건강 모니터링을 하기로 했다. 이들은 지금처럼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재택치료 키트 5종(해열제, 체온계, 산소포화도 측정기, 세척용 소독제, 자가 검사 키트)을 지급받고 관리 의료기관에서 하루 2회 전화로 건강 상태를 점검받는다.
재택치료에도 ‘선택과 집중’을 하기로 한 것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확진자 때문이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이날 보건복지위원회에 출석해 “오는 3월 초쯤 되면 재택격리 또는 재택치료자가 100만 명에 육박할 것이라고 예상하느냐”는 허종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네”라고 답했다. 정 청장은 “(확진자 수가) 3주 연속 2배씩 더블링이 되고 있기에 지금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단계”라며 “증가 속도나 규모가 언제 조정될지는 한두 주 정도는 봐야 할 것 같다”고 진단했다.
일반관리군은 관리 의료기관의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받지 않는다. 해열제, 산소포화도 측정기 등이 포함된 재택치료 키트도 지급받지 못한다. 스스로 건강 상태를 체크하면서 증상이 악화하거나 진료를 원할 때는 동네 병·의원이나 호흡기 클리닉 등 호흡기 진료 지정 의료기관에서 비대면으로 진료를 받거나 코로나19 환자 외래진료센터 55곳(향후 11곳)에서 대면 진료를 받을 수 있다. 다만 소아·청소년 확진자의 경우에는 부모가 지자체에 요청하면 재택치료 키트를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이 같은 방역·의료 체계 전환은 일반관리군 확진자에 대한 관리가 소홀해질 수밖에 없다. 자율 격리로 전환되며 확진자의 활동에 제약이 없어지면 감염이 더욱 확산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실제 맘 카페 등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아이들이 확진돼도 관리를 못 받는다” “동거 가족이 없는 1인 가구는 어떻게 하나” 등 걱정 섞인 반응이 나왔다. 전문가들 역시 워낙 확진자가 많아 고위험군 우선 관리가 필요하다면서도 이 같은 우려에 공감한다. 엄중식 가천대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설 연휴가 지나며 사실상 지자체(보건소)의 업무가 마비될 정도로 확진자 규모가 늘어나고 재택치료 키트 역시 하루 3만~5만 개 정도밖에 공급되지 않아 고위험군 위주로 관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왔다”면서 “완벽한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허점이 있을 수밖에 없고 허점에서 중환자나 사망자는 불가피하게 발생할 것이다. 특히 백신 접종률이 낮은 소아·청소년과 임산부들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기일 중대본 제1통제관은 “동거 가족의 외출이 허용됐고 온라인으로 생필품 구매가 가능해 일반 환자군의 치료는 문제가 없다고 보고 있다”면서 “의사협회와 동네 병·의원에도 코로나19 환자 비대면 진료에 대한 협조를 적극적으로 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