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尹 수혜 기대감…네카오·건설·리오프닝 '주가 어퍼컷'

양대 플랫폼株 모두 8%대 치솟아

코로나 이후 2년만에 하루 최대 폭

건설·원전·리오프닝株까지 급등

글로벌 반등 힘입어 코스피 2.2%↑

"내수 소비 진작 기대감 높지만

대외 악재 첩첩…눈높이 낮춰야"





윤석열 제20대 대통령 당선인이 탄생한 10일 네이버와 카카오(035720)가 ‘주가 어퍼컷’을 날렸다. 강도 높은 플랫폼 규제가 펼쳐지리라는 불안 속에서 짓눌렸던 주가가 장중 10% 이상 급등하면서 지난 2020년 3월 코로나 쇼크 이후 최대의 반등 폭을 기록했다. 지난 5년간 부동산 규제와 탈(脫)원전 정책이 펼쳐지며 잔뜩 위축됐던 건설주와 원전주의 주가도 날아올랐다. 러시아·우크라이나의 전쟁과 유가·원자재값 급등, 글로벌 금리 인상 등 겹겹이 쌓인 대외 악재 속에서도 신정부의 정책 수혜를 볼 수 있는 업종에 대한 기대감이 증시를 움직였다.

이날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카카오는 전 거래일 대비 8.58% 오르며 10만 원에 거래를 마쳤다. 하루 주가 상승률로는 2020년 3월 코로나 쇼크 당시 나타난 반등(11.57%) 이래 2년여 만에 최고치다. 카카오가 10만 원을 회복한 것 역시 1월 7일 이후 약 3개월 만이다. 네이버도 8.54% 오른 33만 500원으로 거래를 마치며 2020년 3월 24일(9.09%) 이후 최고 상승률을 보였다. 장중에는 10.67%까지 주가가 치솟기도 했다.

국내 대표 인터넷 플랫폼 기업인 두 회사는 꾸준한 성장에 대한 기대감으로 투자자들에게 주목을 받으며 지난해 11월까지만 해도 각각 주가가 40만 원, 13만 원을 넘나드는 등 고공 행진을 이어갔다. 하지만 플랫폼 사업자의 문어발식 사업 확장이 공정을 해친다는 비판을 받으며 차기 정부의 1순위 규제 대상으로 거론돼 주가 상승세가 크게 꺾인 바 있다.



전문가들은 윤 당선인이 비교적 온건한 방향으로 플랫폼 규제에 나서리라는 기대감이 이날 네이버·카카오의 주가를 움직인 것으로 보고 있다. 대선 기간에 두 후보 모두 플랫폼 규제의 필요성에는 동의했지만 여당 측 후보자가 소비자 권익 보호에 집중한 반면 윤 당선인은 ‘혁신을 해치지 않는 범위의 최소 규제와 자율 규제’를 강조한 바 있기 때문이다. 실제 업계에서는 윤 당선인이 플랫폼 규제를 진행하면서도 직접 규제를 하기보다는 자율 규제 기구나 민간 기구 등을 출범해 조정을 하리라는 관측이 높다. 김영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대선에서 양당 모두 공통되게 정보기술(IT)·모빌리티·바이오헬스 등 신성장 산업을 성장·육성 분야로 꼽아 크게 차이가 없다지만 신정부에 기대해볼 만한 부분은 규제 혁파에 대한 의지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현 정부의 강도 높은 규제 속에서 주가가 짓눌렸던 건설주의 상승 폭도 이날 가팔랐다. 특히 현대건설(000720)GS건설(006360)·HDC현대산업개발(294870) 등 아파트 1군 브랜드를 보유한 건설사들이 각각 8% 이상 급등해 눈길을 끌었다. 인테리어·가구 기업인 에넥스(6.38%), 한샘(5.19%) 등도 상승 폭이 컸다. 윤 당선인이 대선 기간 내내 “재건축·재개발 규제 완화를 통한 공급 증가로 부동산 문제를 풀겠다”고 강조한 만큼 수혜가 기대되는 이들 기업에 우선 투자 심리가 몰렸다는 분석이다. 이 밖에도 탈원전 기대감으로 대선 이전부터 관심을 받았던 두산중공업(034020)(1.43%), 한국전력(3.83%) 등이 상승 마감했다.

리오프닝주들도 탄력을 받았다. 윤 당선인은 방역패스, 영업시간 제한 폐지 등을 공언한 바 있다. 이에 하이트진로(000080)(4.52%) 등의 주류주와 CJ프레시웨이(051500)(5.12%) 등 외식주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이처럼 새 정부 기대로 부푼 코스피는 전거래일 대비 57.92포인트(2.21%) 상승한 2680.32, 코스닥은 18.94포인트(2.18%) 오른 889.08로 거래를 마쳤다.

다만 전문가들은 새 정부에 대한 희망으로 증시가 오르는 ‘허니문 랠리’에 대한 기대치는 낮추기를 권하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의 전쟁과 그에 따른 유가·원자재값 급등 등 증시에 악재가 될 이슈가 산적해 있기 때문이다. 김효진 KB증권 연구원은 “한국의 경우 수출 경제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국내 정책보다 대외 경기가 증시 사이클을 좌우하고는 한다”며 “수출 활성화와 내수 소비 진작 등의 주요 경제정책이 가져올 변화에도 당장은 팬데믹과 리오프닝,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미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등 대외 이슈가 더 큰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