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간 대학 학과 통폐합의 77%가 지방대에서 이뤄진 것으로 조사됐다. 정원 감축뿐 아니라 학과 통폐합에서도 ‘지방대 쏠림’ 현상이 심화하는 모습이다.
20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도종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교육부에서 받은 ‘일반대학 학과(학부) 통폐합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통폐합 학과 700개 가운데 다른 학과와 합치는 과정 없이 단순 폐과한 경우가 230건(32.9%)으로 가장 많았다.
특히 지방대의 통폐합 증가세가 가팔랐다. 비수도권 통폐합 건수는 △2019년 119건 △2020년 158건 △2021년 262건으로 2년 동안 120.1% 증가했다. 가파른 증가세에 3년간 비수도권 대학의 통폐합 건수는 전체의 77%에 달했다. 수도권 대학은 161건(23%)에 불과했다.
학과 통폐합뿐 아니라 입학 정원 감축 역시 비수도권 대학에 집중되고 있다. 최근 교육부가 공개한 대학 적정 규모화 계획 현황에 따르면 대학 미충원에 따른 비수도권 대학의 입학 정원 감축 인원은 1만 4244명으로, 전체 96개 대학 감축 인원의 87.9%를 차지했다.
계열별로는 인문사회학과 통폐합이 284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공학(190건), 자연과학(130건)이 뒤를 이었다. 특히 기초 학문의 통폐합이 급증했다. 인문 사회 계열은 △2019년 47건 △2020년 91건 △2021년 146건으로 3년간 211% 증가했으며 자연과학 계열은 △2019년 19건 △2020년 37건 △2021년 74건으로 무려 289% 늘었다.
도 의원은 “취업률에만 갇혀 비수도권 대학과 기초 학문 중심의 학과 통폐합이 날로 심각해지는 상황”이라며 “산업 인재 육성을 강조하는 고등교육 정책이 기초 학문 위기를 더욱 앞당기는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