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11월 전력 직거래 시장을 제외한 국내 전력거래량이 전년 동기 대비 1.8%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직전인 10월에 이어 두 달째 마이너스다. 전력거래량이 2개월 연속 줄어든 것은 코로나19로 제조업 전반의 가동률이 낮아졌던 2020년 10~11월 이후 2년 만이다. 내년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이 1%대에 그칠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인 가운데 올 4분기부터 전력거래량도 줄면서 본격적인 침체가 시작됐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12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전력거래량은 4만 3077GWh로 지난해 11월의 4만 3856GWh 대비 감소했다. 올 10월 전력거래량(4만 2097GWh)도 19개월 만에 전년 동기(4만 2780GWh) 대비 축소된 바 있다.
국회입법조사처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1% 증가하면 전력사용량은 0.42% 늘어난다. 산업통상자원부도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2030년까지 최대 전력사용량이 연평균 1.5% 증가할 것으로 예측한 바 있다. 전력사용량 감소가 GDP 하락의 징조로 해석될 수 있는 셈이다.
특히 국내 전체 전력사용분의 55%(2021년 기준)가 산업용이라는 점에서 제조업 전반의 불황이 전력 사용 감소로 연결된 게 아니냐는 분석이 유력하다. 실제 통계청이 발표한 산업동향에 따르면 올 10월 전 산업 생산지수는 전월 대비 1.5% 줄어든 115.4에 그쳤다. 이 같은 감소 폭은 코로나19로 전 산업 분야의 타격이 본격화된 2020년 4월(-1.8%) 이후 최대다. 수출 역시 9월 이후 석 달 연속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하는 등 우리 경제가 글로벌 경기 침체에 따른 직격탄을 맞고 있다는 지적이다. 조홍종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제조업 분야에서 해외 수출 물량이 줄고 공장 가동률이 떨어진 것 등이 전력사용량 감소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며 “올 들어 전기요금 인상으로 원가 부담이 높아진 기업들의 수요 절감 노력도 전력사용량을 끌어내렸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