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강래구 영장 준비·宋 압수수색까지…돈봉투 수사 가속붙이는 檢[안현덕 기자의 LawStory]

구속영장 기각 이후 일주일 새 2차례 소환조사

宋 주거지 등 압수수색…회계 자료 확보 시도

강래구 핵심인물이라 …檢 신병확보에 주력모드

구속시 스폰서·전달·수수자 등까지 수사 확대가능

구속 이후 대비해… 宋 겨냥해서도 강제수사 착수

宋 최정점으로…강래구 이르면 내주 중 구속영장

더불어민주당 ‘2021년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 핵심 피의자인 한국수자원공사 상임감사위원 강래구씨가 21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구속 전 전 피의자 심문(영장심사)를 마친 뒤 건물을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검찰이 소환조사와 압수수색 등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을 겨냥한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검찰은 의혹의 핵심 인물로 꼽히는 강래구 전 한국수자원공사 상임감사위원을 두 차례나 소환했다. 송영길 전 대표의 주거지 등도 압수수색했다. 검찰이 강 전 위원의 구속영장 재청구를 위한 준비작업과 동시에 송 전 대표까지 수사 범위를 넓히는 등 투트랙 전략으로 수사 강도를 높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핵심 인물은 물론 최종 수혜자까지 겨냥하는 ‘쌍끌이’ 수사다.

30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2부(김영철 부장검사)는 지난 27일 강 전 위원을 불러 조사했다. 앞서 25일 그를 소환조사한 지 단 이틀 만이다. 앞서 검찰은 구속영장이 기각된지 나흘 만에 강 전 위원을 소환해 조사했다. 검찰은 29일에는 서울 송파구에 있는 송 전 대표의 주거지와 외곽조직 격인 ‘먹고사는문제연구소’ 여의도 사무실, 경선 당시 캠프 관계자 주거지 등도 압수수색했다. 이는 송 전 대표가 프랑스에서 귀국한 지 닷새 만이다. 압수수색 대상에는 인천에 있는 송 전 대표의 옛 주거지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먹고사는문제연구소가 경선 캠프 자금 조달의 창구 역할을 했다고 의심하고 있다. 송 전 대표 전·현 주거지 등을 압수수색해 회계업무 자료를 확보하는 등 자금 조달 경위에 대한 추적에 나선 셈이다. 송 전 대표는 현재 출국이 금지된 상태다. 또 국민의힘 소속 이종배 서울시의원이 고발하면서 자동으로 피의자 신분이 됐다.

법조계 안팎에서는 검찰이 강 전 위원에 대한 구속영장 재청구 준비와 송 전 대표의 주변을 겨냥한 수사를 동시에 주력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강 전 위원은 돈이 마련되고 뿌려지는 데 핵심 역할을 했다고 알려진 인물이다. 그만큼 그에 대한 신병 확보는 수사 향항을 결정할 중요 관문이 될 수 있다. 검찰은 재차 구속 시도가 성공하면 수사에 물꼬가 트인다. 자금 마련부터 전달·수사자들까지 수사할 주춧돌이 생기며 송 전 대표까지 수사 칼날을 드리울 수 있다. 그만큼 송 전 대표에 대한 압수수색 등 강제수사는 향후 강 전 위원의 신병을 확보했을 때에 대한 사전 준비작업이 될 수 있다.

반면 구속 수사에 좌절되면 수사에 타격이 불가피하다. 앞서 법원은 강 전 위원에 대해 ‘도주·증거인멸의 우려가 없다’며 구속영장을 기각했다. 검찰이 재차 구속영장을 청구하는 터라 실패할 경우, 그의 신병을 확보한 또 한번의 기회가 있다는 보장도 없다. 검찰이 구속영장 재청구에 앞서 강 전 위원이 이른바 ‘입 맞추기’ 등 증거인멸은 물론 자금 마련 등 핵심 증거를 확보하는 데 주력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는 이유다. 여기에 검찰이 강 전 위원에 대해 정치자금법 위반 등 혐의를 추가 적용, 이르면 내달 초 구속영장을 재청구할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검찰은 압수수색영장에는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를 적용했으나 자금 조성 경위 등에 대한 보완 수사가 필요하다고 보고 강 전 위원에 대한 첫 구속영장 청구 때는 제외했다.

송영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4일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을 통해 귀국해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영종도=연합뉴스




강 전 위원은 지난 2021년 민주당 전당대회를 앞두고 송영길 전 대표의 당선을 위해 윤관석 의원·이정근 전 사무부총장 등과 함께 돈봉투 9400만원을 살포한 혐의를 받는다. 검찰은 해당 의혹의 최종 수혜자로 송 전 대표를 꼽는다. 검찰이 이른바 의혹의 시작과 끝에 있는 인물을 겨냥, 동시에 사정 칼날을 드리우며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는 셈이다.

한 법조계 관계자는 “검찰이 돈봉투를 받은 인물들에 대한 특정을 대부분 마치고, 가담 정도에 따라 책임 번위를 분류하는 작업에 돌입했다고 알려졌다”며 “강 전 위원이 이들 과정에서 중요 역할을 한 만큼 검찰이 ‘선(先) 신병확보·후(後) 수사 확대’라는 전략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강 전 위원에 대한 구속에 성공한 후 검찰이 송 전 대표 보좌관을 지낸 박 모 씨와 강 씨에게 돈을 대준 ‘스폰서’로 지목된 사업가 김모 씨를 소환하는 등 수사 범위가 한층 확대할 수 있다는 얘기다. 송 전 위원이 ‘최대한 빨리 검찰에 출석하겠다’는 뜻을 밝힌 데 대해 검찰이 ‘협의된 바 없다’거나 ‘의견 있으면 서면 제출하라’는 등 대응하고 있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또 다른 법조계 관계자는 “송 전 대표 주거지 등을 압수수색한 건 자금흐름을 파악하기 위한 수사”라며 “검찰은 강 전 위원 신병을 확보하고, 전달·수수자 등까지 소환조사하면서 송 전 대표에 대한 주변 수사도 함께 진행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송 전 대표가 우선 소환조사를 원한다고 해도, 검찰은 시기를 조율하는 등 늦출 수 있다”며 “송 전 대표가 혐의를 부인하고 있는 만큼 해당 의혹에 대한 혐의 다지기가 어느 정도 완료될 때 검찰이 그를 불러 조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앞으로 시일이 다소 늦춰질 수 있으나 결국 수사 최정점을 송 전 대표로 보고, 검찰이 수사를 진행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이 전 사무부총장 녹취파일에는 강 전 위원이 돈 봉투를 지역본부장에게 나눠준 사실을 송 전 대표에게 보고하자 격려했다거나, 이 전 사무부총장과 강 전 위원이 송 전 대표가 돈을 쓴 것을 궁금해 했다는 등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송 전 대표가 직접 금품을 건넸다는 취지의 말도 담겨 또 다른 스폰서가 있는지에 대한 검찰 수사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송 전 대표는 “후보가 캠프의 일을 일일이 챙기기가 어려웠다”며 돈 봉투 살포 사건의 지시·인지·묵인의혹을 모두 부인하고 있다.

사진 설명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