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도쿄역에서 자동차로 30분가량 달려 요코하마만을 지나자 고층 건물들이 들어선 ‘미나토미라이(港未來)21’ 지구가 나타났다.
사실 이곳은 불과 30여 년 전까지만 해도 노후 항만에 딸린 낡은 조선소만 있던 황량한 부지였다. 비슷한 입지인 우리 인천광역시가 제조업 거점의 지위를 상실한 것처럼 당시 요코하마도 점차 활력을 잃어가던 상황이었다.
그러나 요코하마시는 이곳에 기업들을 다시 한 번 끌어모으겠다는 전략을 세우고 1983년부터 대규모 재개발에 착수했다. 낡은 조선 시설을 외곽으로 옮기고 조선소가 떠난 항구를 공원과 쇼핑몰 등 문화 시설로 채웠다. 2000년대부터는 도쿄와 경쟁한다는 목표 하에 기업 유치도 시도했다.
대규모 규제 완화 카드도 꺼내 들었다. 2004년 기업유치조례를 제정하며 요코하마시에 둥지를 트는 기업에 최대 50억 엔의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한 것이다. 수도권규제법 폐지, 용적률 완화 등 중앙정부 차원의 유인책도 총동원됐다.
지방자치단체가 과감하게 규제를 풀자 꿈쩍도 하지 않던 기업들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2009년 일본을 대표하는 자동차 회사 닛산이 본사를 요코하마로 옮겼고 이어 히타치·소니·무라타 등 일본이 강점을 지닌 소재·부품·장비 업체들의 연구개발(R&D)센터도 줄줄이 입주했다. 애플·LG 등 글로벌 기업들도 현지 기업의 R&D 시설과 연계해 시너지 효과를 내기 위해 이곳을 찾았다. 실제로 요코하마 시청에 따르면 미나토미라이21 내 기업체 수는 2009년 1200여 개에서 지난해 기준 1890개로 60% 가까이 늘었다. 인공지능(AI)·로봇 등 신기술 확산으로 R&D 강화가 제조업 혁신의 전제 조건이 된 스마트 제조업 시대에는 개별 기업의 노력을 넘어 이를 뒷받침할 도시와의 협력이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다.
하준경 한양대 교수는 “다른 나라에서는 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안 되는 진입장벽 규제가 여전히 많다”며 “제조업에 서비스업을 융합해내는 혁신을 위해 정부의 과감한 결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