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지구 평균온도가 관측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기후변화가 국내 수출입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한국은행 분석이 나왔다. 수입 측면에선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이 국내 물가에 영향을 주게 되고 수출에선 기후변화 피해로 교역상대국 소득이 줄면 국내 수출품 수요가 줄어들 수 있다는 지적이다.
6일 김재윤 한국은행 지속가능성장연구팀 과장은 정선문 동국대 회계학과 교수, 이성태 홍익대 전자전기공학부 교수와 함께 작성한 ‘수출입경로를 통한 해외 기후변화 물리적리스크의 국내 파급영향’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먼저 수입경로에선 기후변화로 인한 장기간 온도 상승은 글로벌 농축수산물 공급 감소로 이어져 국내 수입 가격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 세계 각국이 온실가스 감축 노력을 하지 않아 온도가 지속 상승하는 시나리오에선 글로벌 농축수산물 가격이 평균온도 상승 폭(1951~1980년 대비)이 1.5℃를 초과하면 상승 전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온도가 낮은 경우 온도 상승은 작물 생산성을 늘리는 온화 기후를 형성해 가격 하락 요인이 되지만 지속적인 온도 상승은 작물 생산성을 떨어뜨려 가격 상승 압력으로 작용한다고 분석했다.
수출경로에서도 기후변화로 인한 장기간 온도 상승은 교역상대국의 생산성과 소득을 줄이는 영향을 주면서 국내 자동차, 정유, 화학, 철강 등 주요 수출 산업의 수출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전 세계 각국이 온실가스 감축 노력을 하지 않아 온도 상승이 극대화되는 시나리오에서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은 2023~2100년 누적 기준 3.8~8.9% 감소한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이에 수출의존도가 높은 국내 자동차(-11.6~-23.9%), 정유(-9.7~-19.1%), 화학(-7.6~-15.7%), 철강(-7.2~-15.6%) 등은 수출이 큰 폭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우리 경제의 높은 무역의존도를 감안할 때 해외 기후변화 물리적 리스크는 국내 산업의 생산 위축, 부가가치 감소 등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봤다. 자연재해로 인한 물리적 피해가 확대되면 해외 기후리스크가 글로벌 공급망을 거쳐 국내 경제에 예상보다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김 과장은 “기업들은 해외 거래 기업이 있는 지역의 기후변화 리스크를 면밀히 살피고 수출입선을 다변화하는 등 글로벌 공급망 관리를 강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며 “금융감독 당국과 금융기관도 국내 기후리스크뿐만 아니라 해외 기후변화 물리적리스크의 파급 영향도 함께 감안해야 한다”고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