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간 수도권 지역에서 늘어난 취업자 수가 전체 증가분의 절반가량에 달하는 반면, 비수도권 지역에서는 취업자 수가 70% 감소하는 등 수도권과 지방의 일자리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한국고용정보원이 발간한 ‘지역노동시장 양극화와 일자리 정책과제’ 연구보고서에 이 같은 내용이 담겼다. 고용정보원은 2013년~2023년 통계청의 지역별고용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10년간 취업자 수가 증가한 상위 20개 시군 중 12곳이 수도권 신도시로 나타났다. 10년간 수도권 신도시에서 증가한 취업자 수는 150만 명으로, 같은 기간 전체 취업자 수 증가분 331만 명의 46.8%로 나타났다.
전체 취업자 중 77.2%는 경기도에 취업했다. 특히 수원시와 화성시, 용인시, 시흥시 등 경기 남부권의 일자리가 크게 늘었다. 비수도권 중에서 취업자가 증가한 도시는 세종시, 전남 나주시, 전북 완주군 등 혁신도시, 수도권에 인접한 충남·북 산업도시들이었다.
청년 취업자 증가율도 이와 비슷한 추이를 보였다. 증가율이 가장 높은 20개 시군은 경기도, 수도권 인접 충청도 지역, 혁신도시, 도청소재지 등으로 나타났다. 2023년 1분기 기준 전체 취업자 중 청년층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경기도 안산시(17.4%), 충남 천안시(16.6%) 등으로 집계됐다.
반면 청년 취업자 하위 20개 시군에는 주 인구소멸 위기에 놓인 지역이 대거 포함됐다. 특히 청년 취업자 비중이 가장 낮은 전북 순창군(1.8%)는 10년 전인 2013년 대비 청년 취업자가 70%나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임금 상위 20개 시군을 살펴보면 2013년 기준 8개 시군이 비수도권이었으나 2023년엔 6곳으로 줄었다. 또 2023년엔 세종시를 제외하면 상위 10곳에 비수도권이 한 곳도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호 연구위원은 수도권과 지방 간 일자리 양극화가 확대된 데 대해 “지역의 인재 유출, 특히 청년층 유출과 제조업 쇠퇴에 가장 큰 원인이 있다”며 “지역 중소기업의 일자리 질을 개선하는 지원 정책에 초점을 맞추고, 지역이 스스로 발전 대안을 수립하도록 권한을 부여하되, 지역 간 소모적 경쟁으로 이어지지 않게 지역의 정책 역량을 지원하는 방안을 가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