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미래 신산업 분야의 글로벌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의 본격적인 실행에 착수했다.
부산시는 21일 오후 시청 영상회의실에서 박형준 시장 주재로 ‘광역형 비자 관계기관 회의’를 열고 14개 지역 대학 및 유관 기관과 함께 사업 실행계획을 공유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경성대·부산대 등 14개 대학 총장·부총장을 비롯해 부산출입국·외국인청, 부산글로벌도시재단 등 주요 기관장이 참석해 광역형 비자 운영방안과 대학 간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시는 광역형 비자 운영 전략을, 각 대학은 대학별 운영방안을 발표하며 미래 신산업 분야의 글로벌 인재 양성에 공동 대응키로 했다.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은 시가 지난달 법무부 공모에 최종 선정되면서 시작됐다. 앞으로 2년간 반도체, 이차전지, 미래자동차 부품 등 부산 전략산업에 필요한 외국인 유학생 1000명을 대학에 유치하고 이들의 지역 정착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시는 외국인 유학생의 비자 발급을 위한 재정요건을 완화하고 학기 중 인턴 활동을 허용하며 산업 연계 교육과정과 실습·인턴·채용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또한 기숙사 및 정주 지원, 정주형 비자 전환 등 다각적인 지원책도 마련한다.
참여 대학들은 광역형 비자 전담 전공을 중심으로 유학생을 선발하고 산업 현장과 연계한 실습 및 채용 프로그램을 통해 유학생의 정주율과 취업률을 동시에 높일 방침이다.
시는 이번 사업을 교육부의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글로컬대학, 특성화대학 등 주요 국책사업과 연계해 ‘부산형 글로벌 인재 전략’의 핵심 플랫폼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행정적·재정적 지원도 강화한다.
박형준 시장은 “인구감소와 고령화, 미래산업 전환이라는 중대한 전환점에서 광역형 비자사업이 지역대학의 경쟁력 강화와 부산 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 확충에 기여하길 기대한다”며 “글로벌 인재 유치와 정착을 위한 생태계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