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중소기업학회가 22일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제1회 한국중소기업학회 혁신벤처포럼'을 열고 창업·벤처 생태계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포럼은 중기중앙회와 벤처기업협회와 공동 주최로 열렸다.
진병채 한국중기학회장은 개회사에서 “다시 도약하는 한국의 경제를 위해서는 벤처생태계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 넣어 미래 산업을 육성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유능한 인재의 생태계 유입을 위해 현행 스톡옵션제도를 정비하고, 획기적인 세제 개편을 통해 민간자금이 벤처생태계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인하며, 투자 회수 시장 활성화를 위해 현행 벤처기업 M&A 제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축사에서 "경제 성장 엔진이 멈춰선 대한민국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소수 대기업 중심의 산업 정책을 중소·벤처기업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추 본부장은 이를 위해 "AI 서비스를 제조·유통·물류·서비스업 등에 활용해 중소·벤처기업의 생산성을 올려야 한다"라며 "특히, AI를 제조업에 확대 적용해 중소제조업 부흥을 일으키고 제조 강국의 명맥을 유지해야 하며, AI 팩토리 확산을 위한 '스마트 제조 산업 육성법' 제정과 예산 확대도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박성혁 카이스트 사회교육학 교수는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방안 중 하나인 '플립'(본사 해외 이전)의 개념과 구체적인 방법론을 설명했다. 한국의 스타트업이 기업을 매각하지 않으면서 본사를 해외로 이전하는 방안도 소개했다.
진 회장은 "대기업의 지방 유치는 지역의 생산성 향상과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해 지역 내 주민들의 소득 증가에는 일조하지만, 지역의 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 창업생태계 확산 측면에서는 한계가 있다"며 "오히려 벤처기업 육성이 지역의 경제 성장과 고용 창출, 기술 혁신을 견인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균형 성장을 목표로 한 지역 간 혁신 특구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특구 지정만으로는 효과가 없다"며 "특구 지정 후 정부 차원의 재정 투입과 지역 중심의 민간 투자생태계 조성, 거점 지방대학을 중심으로 한 인재 양성 등이 연계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정민 벤처기업협회 사무총장은 "대한민국의 청년과 미래를 위해 벤처정책은 국가 경제정책의 최우선 어젠다가 돼야 한다"며 "68개 법정기금의 벤처·스타트업 투자 의무화와 근로 시간 제도 개편, 산업 규제 권한의 지방 이양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발제 이후에는 박경민 연세대 경영학 교수가 좌장을 맡아 김상준 이화여대 경영학 교수, 문정빈 고려대 경영학 교수, 윤현중 강원대 경영학 교수, 이정민 벤처기업협회 사무총장의 종합 토론이 진행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