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업계를 중심으로 친환경 에너지의 남는 전원을 비트코인 같은 자산 채굴에 쓰자는 제안이 확산하고 있다. 국가 차원에서 가상자산 기업을 위한 산업단지를 조성하자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25일 금융계에 따르면 한양대 응용통계학과의 최윤슬, 수학과의 정재홍 교수 등 연구진은 이달 초 발표한 영자 논문 ‘잉여 전력 활용: 한국에서 국가전략으로서의 비트코인 채굴의 수익성(Leveraging Surplus Electricity: Profitability of Bitcoin Mining as a National Strategy in South Korea)’에서 태양광 같은 친환경 발전의 잉여 전략을 활용해 비트코인을 채굴하면 연간 최대 3억 4800만 달러(약 4760억 원)의 순이익을 거둘 수 있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연구진은 비트코인 가격과 채굴 비용 등을 가정한 6개 시나리오를 제시했는데 적게는 2억 9200만 달러에서 최대 3억 4800만 달러의 순익이 가능하다고 봤다. 논문은 “친환경 에너지 발전에 따른 유휴 전력을 활용하면 경제적 이익을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고 한국전력의 빚을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태양광과 풍력 같은 친환경 에너지는 날씨나 계절, 시간대에 따라 발전량이 크게 달라진다. 반면 전력 수요는 사람들의 생활 패턴이나 산업 활동에 따라 특정 시간대에 집중된다. 이로 인해 수요와 공급 간의 시차가 발생해 생산된 전력이 쓰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남는 전력을 산업단지를 조성해 비트코인 채굴을 포함한 디지털 자산 관련 기업들에 공급하면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수익 창출도 가능하다는 것이 학계와 업계의 설명이다.
해외에서는 이미 유휴 전력을 가상자산 채굴에 활용하고 있다. 미국 텍사스는 값싼 전기요금과 규제 완화를 통해 다수의 비트코인 채굴 기업을 유치했다.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 사용량을 줄이는 업체에 인센티브를 제공해 전력망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채굴 기업의 수익도 보장하고 있다. 중남미 국가 엘살바도르가 대표적인 사례다. 현지 정부는 테카파 화산 인근 지열발전소에서 생산된 잉여 전력을 비트코인 채굴 전용으로 공급하고 있으며 2021년부터 2024년까지 비트코인 474개를 채굴했다. 2018년부터 가상자산을 채굴해온 장재윤 채굴TV 대표는 “지금은 채굴업이 법적으로 명확한 산업으로 분류돼 있지 않아 전기요금이나 세금 적용에서도 혜택을 받지 못한다”며 “산업단지 논의와 함께 채굴업의 제도적 지위를 확립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