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과 로봇, 첨단 제조 기술이 융합되는 새로운 패러다임 속에 폭발적으로 성장할 글로벌 로봇 시장에서 제조업 강국인 한국은 톱티어 국가로 성장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준구 대동로보틱스 대표는 27일 ‘이미 시작된 미래, 모든 것은 AI로 통한다’를 주제로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개막한 ‘서울포럼 2025’ 기조강연을 통해 “로봇 산업 주도권의 핵심은 두뇌 역할을 하는 피지컬 AI 기술”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로봇이 자율적으로 복잡한 작업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범용적 AI 모델 개발이 로봇 강국 도약의 핵심 과제라는 것이다. 여 대표는 서울대 기계설계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오리건주립대에서 로봇공학 석사·박사 학위를 취득한 국내 1세대 로봇 전문가이자 세계적인 석학이다.
여 대표는 전 세계적인 로봇 패권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어 한국이 로봇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골든타임을 놓쳐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반도체·조선·철강·석유화학 등 한국의 주력 산업에 필요한 특화 로봇 상용화에 집중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두 번째 기조연설에 나선 펠릭스 상 유니트리로보틱스 시니어디렉터는 “로봇 기술력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개발(R&D) 투자를 게을리해서는 안 되며 다양한 업종의 기업은 물론 대학과도 왕성하게 협력해야 한다”면서 “한국 기업과의 협력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로봇 기업인 유니트리는 2000만 원대에 불과한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 ‘G1’을 선보여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제21대 대선 주자들은 일제히 AI 분야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약속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축사를 통해 “세계 최고의 AI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과감한 투자와 체계적인 육성이 필수”라며 “대한민국의 우수한 인재들이 마음껏 역량을 펼치며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지원책을 활발히 찾겠다”고 약속했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도 “기술은 인간의 상상을 추월하고 있고 이제는 그 상상을 앞질러 새로운 현실을 만들어가고 있다”며 “휴머노이드 로봇, 자율주행, 초거대 AI 등 미래 산업 전 분야에서 ‘퍼스트무버’ 대한민국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