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재무성이 초장기 국채 입찰 부진과 이에 따른 금리 급등에 대응하기 위해 다음 달 20일 채권시장 주요 참가자들을 긴급 소집한다고 27일 발표했다. 최근 40년물과 30년물 국채의 수요 급감으로 금리가 급등해 시장 불안이 커진 데 따른 것으로, 일각에서는 국채 발행 계획 수정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이번 회의는 증권회사와 대형 은행 등 19개 금융기관이 참여하는 ‘국채시장 특별참가자(프라이머리 딜러·PD) 회의’다. 회의 개최 배경에는 지난 20일 실시된 20년물 국채 입찰에서 ‘입찰 부진’을 나타내는 ‘테일’ 지표가 1987년 이래 최대치를 기록한 것이 있다. 테일은 입찰 최고가와 평균 낙찰가의 격차를 뜻하며, 수치가 클수록 시장 수요가 약하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재무성은 회의에 앞서 참가 기관들에게 2025년도 국채 발행 계획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각 만기별 적정 발행 규모는 물론, 초장기물의 현 상황에 대한 평가, 재무성의 대응에 대한 의견 등을 묻는 내용이 포함됐다. 이는 매년 말 정례적으로 시행되는 국채 발행계획 수립을 위한 절차와 유사한 것이다. 이를 두고 블룸버그통신은 “설문 시점과 광범위한 대상자 접촉 등을 고려할 때 이례적인 움직임”이라고 평가했다.
재무성의 설문조사 소식이 전해지면서 초장기 국채 발행 감축 가능성이 시장에서 확산했고, 일본 채권시장에서는 이 같은 기대감으로 장기물 국채 수익률이 일제히 하락(채권 가격 상승)했다. 신규 발행 40년물 국채 금리는 이날 한때 전일 대비 0.12%포인트 낮은 3.43%, 30년물은 0.105%포인트 낮은 2.935%를 기록했다.
한편, 오는 28일에는 40년물 입찰이 예정돼 있다. 가토 가쓰노부 재무상은 이날 내각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최근 금리 상승으로 국채의 안정적 소화에 지장이 생긴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초장기채 시장을 포함한 시장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며, 시장 참가자 및 투자자와의 긴밀한 대화로 적절한 국채 관리 정책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