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대 대선 투표일 일주일을 남겨두고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사이의 단일화 성사 여부에 촉각이 모아지는 가운데 "이준석은 제2의 유승민이 되는 것을 가장 두려워한다"라는 분석이 나왔다.
27일 뉴스1 팩트앤뷰 방송에 출연한 박용진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준석 후보에 대해 "단일화 안 하겠다고 확언하는 것은 단순한 립서비스가 아니다, 말 바꾸기는 언제든 가능하지만 현재로서는 거부 의사가 확고해 보인다"라고 평가했다.
이 후보가 단일화를 강력히 거부하는 이유에 대해서 박 전 의원은 "제2의 유승민이 되는 것을 가장 두려워한다"라고 분석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당선됐던 지난 2017년 대선에서 유승민 후보는 바른정당 소속으로 출마해 6.76% 득표에 그쳤고, 이후 보수 정치권에서 재기 불가능한 상황에 처했다는 점을 의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박 전 의원은 "5% 득표율 만으로는 정치적 미래가 열리지 않는다, 10%를 받아도 다음 지방선거에서 무엇을 할 수 있겠느냐"면서 "이준석은 본인의 정치적 전망이 확보됐다고 판단하면 단일화에 응할 수 있다"라고 내다봤다.
다만 실제 투표장에서는 이준석 후보가 최근의 여론조사 보다도 더 낮은 득표율을 기록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도 나왔다. 박 전 의원은 "제3 후보의 어려움이 있다"면서 "최종 투표장에서는 사표 심리가 발동된다, 10% 지지율도 실제로는 5%에 그칠 것이다"라고 예상했다. 지난 2022년 지방선거에서 조국혁신당이 보여준 '지민비조(지역구는 민주당, 비례는 조국혁신당)'의 현상이 되풀이될 수 있다며 이준석 후보 지지층이 결국 투표장에서는 김문수 후보에게 표를 몰아줄 것이라는 예측이다.
박 전 의원은 이준석 후보의 선거 전략에 대해서도 쓴소리를 마다하지 않았다. 그는 "이준석 후보가 이번 선거에서 비전을 보여준 게 무엇이 있느냐"면서 "이재명 후보만 열심히 공격했지, 새로운 정치나 미래 비전은 없었다, 오히려 권영국 후보가 분배와 평등에 대한 다른 색깔 목소리를 냈다"고 설명했다.
박 전 의원은 "이준석이어야 하는 이유를 제대로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면서 "(그가) 계속 단일화 국면에서 헤매고 있는 이유"라고 꼬집었다.
한편 박 전 의원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에 대해서는 "우리가 왕을 뽑는 게 아니라 5년 짜리 계약직 공무원 뽑는 거다"면서 "일 잘할 사람, 우리가 부려먹을 사람 뽑는 건데 이재명 후보가 일 잘하는 공무원, 쓸모 있는 그런 대통령이 될 것"이라며 "(이재명 후보가 당선된다면) 입법무, 행정부가 공조 역할 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왔으니까 효율적이고 일사천리로 일할 수 있는 그런 정부를 국민들이 만들어달라"라고 호소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