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뒷좌석 컵홀더가 너무 작다.” 현대차(005380)·기아(000270)가 강남대로 사옥에 개관한 UX스튜디오에 전시된 차량에 커피가 담긴 일회용컵을 들고 탄 고객이 불만을 토로한다. 요즘 커피 프렌차이즈들이 판매하는 대용량 커피컵을 담기에는 차량의 컵홀더가 좁다는 것. 전시된 차량은 이 고객이 차에 대해 평가하는 말을 녹음한다. 이 고객이 3차원(3D) 기능이 있는 안경을 쓰고 가상 주행을 시작하면 현대차·기아는 ‘아이 트랙킹’ 기술을 통해 차량을 주행할 때 상황별로 반응하는 운전자의 눈을 포착하고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렇게 축적된 정보는 현대차·기아가 개발할 차량에 적용돼 더 나은 모델로 탄생한다.
현대차그룹은 이 같이 고객이 직접 모빌리티 개발에 참여할 수 있는 ‘현대차·기아 UX스튜디오 서울’을 3일 개관한다. 현대차그룹은 기존 서초구에 있던 UX스튜디오를 강남사옥으로 이전하면서 ‘오픈랩’을 열고 세계 최초로 차량 개발에 일반 고객이 사용자 경험(UX·User experience)에 자유롭게 참여하는 프로그램을 시작한다. 현대차·기아 측은 “차량 개발에 영향력을 끼친 방문객에게는 사례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개관하는 UX스튜디오는 1층에 마련된 오픈랩에 더해 별도로 선별된 인원만 참여하는 2층 ‘어드밴스드 리서치 랩’으로 구성됐다. 2일 UX스튜디오를 방문해 2층에 올라서자 피처 개발룸, 시뮬레이션 룸 등이 모습을 드러냈다. 현대차·기아는 이곳에 모집된 고객 30~50명가량이 연구원들과 함께 UX 연구를 수행하는 몰입형 공간으로 구성했다. 이 고객들은 연구원들과 아이디어에 대한 피드백을 주고 받을 수 있다.
현대차·기아는 소프트웨어중심차량(SDV)을 체험할 수 있는 ‘SDV 존’도 마련했다. 현대차는 SDV존을 찾은 고객들이 현대차그룹의 미래 모빌리티의 방향성을 체험할 수 있게 올 3월 열린 개발자 콘퍼런스 ‘플레오스 25’에서 공개된 전기·전자(E&E) 아키텍처 차량을 전시했다.
김효린 현대차·기아 피처전략실 상무는 “현대차·기아가 지향하는 UX는 편리함을 넘어 감동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라며 “그 출발점은 결국 고객의 목소리이며 UX 스튜디오 서울은 단순 체험 공간이 아니라 실제 차량 개발 과정에 고객의 목소리를 담아내는 공간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