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승관 신임 질병관리청장은 14일 “질병청이 감염병 재난을 비롯한 공중보건 위기의 컨트롤타워가 돼 국가 보건안보 역량을 키우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임 청장은 이날 충북 청주시 오송 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향후 역점과제를 소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한국의 팬데믹 대응 과정에서 부족했던 점, 취약했던 점을 살펴보고 이를 보완해 앞으로 나아가겠다”며 “질병청이 준비한 각종 중장기 계획과 데이터 플랫폼을 바탕으로 질병청 주도로 국가 감염병 대응 체계를 정비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임 청장은 메신저리보핵산(mRNA) 플랫폼을 “넥스트 팬데믹 대응의 핵심 열쇠”로 꼽으며 “mRNA 백신 개발 지원사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제 더는 낯설지 않은 기후·인구위기 시대에서 중장기적 관점으로 국가 질병 관리정책의 토대를 쌓아가겠다”고 약속했다. 임 청장은 “폭염, 폭우 등 기후재난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고자 건강영향 감시·조사체계를 구축하겠다”며 “초고령사회에서 지역 커뮤니티 중심으로 노쇠 예방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코로나19 대응 기간 축적한 우수한 보건 안보 사례를 바탕으로 글로벌 공중보건 역량 강화를 위한 국제협력과 공조에도 힘쓰겠다고 밝혔다. 그는 “결핵, 말라리아,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퇴치를 위해 적극적으로 취약 계층 예방·관리를 추진하고, 안전한 의료환경도 조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살던 곳에서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질환을 관리받도록 지역사회 기반 만성질환 예방·관리사업을 활성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올해부터 시행되는 손상예방법을 바탕으로 건강 위해 요인에 대한 국가안전망도 강화하기로 했다.
임 청장은 아주대 의대에서 학·석사 학위를 받은 감염내과 전문의로 경기도 코로나19 긴급대응단장, 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장, 대한감염학회 정책기획이사, 국립중앙의료원 중앙감염병병원 설립추진단장 등을 역임했다. 특히 이재명 대통령이 경기지사로 재임하던 시절 경기도의 코로나19 팬데믹 대응을 지휘한 이력이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