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한의 폭우로 전국에서 28명이 사망하거나 실종된 가운데 광주 광산구와 전남 함평군이 계획했던 물놀이 축제를 예정대로 진행하기로 해 논란이 일고 있다.
22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광주 광산구는 오는 26일 첨단1동 미관광장 일대에서 ‘제2회 광산 워터락 페스티벌’을 당초 일정대로 개최할 예정이다.
이 축제는 뉴진스님 등 인기 연예인들이 참여하는 공연과 함께 물총 대전, 키즈풀, 얼음 놀이터 등으로 구성된 전형적인 여름 물놀이 행사다.
하지만 아직도 폭우 피해 복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실종자 수색이 계속되고 있다는 점에서 이 같은 축제가 과연 시의적절한가를 두고 부정적인 시각이 적지 않다.
광주 지역에서도 1명이 숨지고 1명이 실종된 상황이며 아직 피해 복구 작업이 진행 중이다. 재산 피해 규모도 상당하다. 광산구는 현재까지 130억원가량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잠정 집계돼, 북구(140억원)에 이어 두 번째로 피해가 컸던 지역이다.
전남 함평군 역시 26일부터 물총 싸움, EDM 버블파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포함한 ‘물놀이 페스타’를 진행하기로 했다. 함평군은 최근 폭우로 인한 재산 피해 규모가 51억 50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전국적으로는 피해가 더욱 심각하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집중호우로 인한 인명 피해는 사망 19명, 실종 9명이며 주택 침수나 도로·교량 유실 등 시설 피해는 6752건에 이른다. 이 중 약 44%만 응급 복구가 완료됐으며 아직까지 12개 시도에서 총 1282세대, 2549명의 이재민이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
광주에 살고 있는 26세 여성 A씨는 “바로 옆 북구가 큰 피해를 입었고 광산구 자체 피해도 심한데 굳이 이 시점에 물놀이 축제를 해야 하냐”고 꼬집었다.
하지만 다른 지역에서도 물 축제가 예정대로 열리는 만큼, 광주·전남 지역에만 비판이 집중되는 건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지적도 나온다. 광주 출신 27세 남성 B씨는 “이 시기에 물 축제가 열리는 지역이 경남·경북 등 다양한 것으로 안다”며 “상황이 상황이니 비판 여론 자체는 이해하지만 광주·전남 지역에만 화살이 날아오는 것은 당황스럽다”는 입장을 밝혔다.
광산구 관계자는 “비슷한 시기 다른 지역에서도 물 축제를 하는 것으로 파악했다”며 “경기 침체로 어려움에 놓인 소상공인을 돕자는 취지의 축제인 데다 취소를 원치 않는 인근 상인회의 입장 등을 고려해 예정대로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