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서울 강남 3구를 중심으로 아파트를 ‘팔지 않고 물려주는’ 움직임이 뚜렷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잦은 부동산 정책 변화에 대한 불신과 '핵심지는 결국 오른다'는 학습효과가 배경으로 꼽힌다.
31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7월 아파트 거래량은 2691건으로 6월 1만1885건 대비 5분의 1 수준으로 떨어졌다. 반면 올해 1~6월 서울 강남권(강남·송파·서초) 집합건물 증여 목적 소유권 이전 건수는 총 824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2% 증가했다. 자치구별로는 강남(336건)·송파(253건)·서초(235건) 순으로 증여 건수가 가장 많았다. 최근 3년간 상반기 기준으로 보면 2023년 520건, 지난해 675건 등 강남권 아파트 증여 건수는 계속 늘고 있다.
강남지역 자산가들을 중심으로 ‘오르면 오를수록 팔지 않고 물려준다’는 학습 효과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정책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자산가는 안전자산 보유로 대응하고, 이것이 강남 3구 아파트 증여로 나타났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와 함께 강남권 집값이 크게 오르면서 절세를 위한 부부간 증여도 많아지고 있다. 종합부동산세는 부부 공동명의 때 각자 9억 원씩을 공제받아 총 18억원까지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집주인들이 버티기에 들어가면서 집값도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 조사에서 서울 아파트 가격은 지난 21일 기준 0.16% 오르면서 25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강남 3구 모두 상승을 유지한 가운데 서초구(0.28%)와 송파구(0.43%)는 서울 평균보다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