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이앤씨를 비롯해 광양제철소까지 올 들어 5명의 사망 사고가 발생하면서 포스코그룹이 장인화 회장의 특별 지시로 ‘그룹 안전 특별진단 태스크포스’를 구성하기로 한 것과 관련해 노조가 ‘전시 행정’이라며 비판했다. 그룹 차원에서 산업재해 줄이기에 적극 나서고 있는데 노조의 발목 잡기가 지나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포스코 노동조합은 지난 1일 산재 사고와 관련한 안전문제를 제기했음에도 회사 측이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았고 논의도 없던 상태에서 일방적으로 안전관리 혁신계획을 발표했다고 비판했다.
포스코 노조는 “태스크포스 구성은 노조가 전혀 인지하지 못한 사안으로 사전에 그 어떤 협의도 없었다” 면서 “현장 당사자인 조합과 조합원이 배제된 채 마련된 대책은 전시행정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포스코그룹은 지난달 말 안전관리 혁신 계획을 발표하면서 회장 직속 그룹 안전 특별진단 태스크포스를 출범시키겠다고 밝혔다. 태스크포스에는 학계와 기관, 직원, 노조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고, 개선 과제를 도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노조 측의 반발에 대해 포스코그룹 측은 “태스크포스를 구성할 때 회사가 근로자를 안전 예방의 주체로 생각하고 직원을 참여시키겠다는 취지” 라며 “세부 실행은 사업 회사별 직원 및 노사 협의를 거쳐 구체화하고 추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포스코그룹은 또 기존 사업회사 중심의 안전 관리를 그룹 중심의 안전 관리 체제로 전환해 시스템과 인프라를 개선하기로 했다. 우선 안전 진단과 솔루션 제공 등 안전 관리를 전문으로 하는 사업 회사를 신설한다. 인공지능(AI) 기술을 결합한 안전 기술을 개발하고, 공사 안전 플랫폼을 만들어 중소기업과 하청업체에도 제공할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