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800달러 이하 소액 소포에 대한 관세 면제 혜택을 폐지하면서 유럽과 아시아 주요 우편 서비스들이 미국행 소포 발송을 중단하고 있다.
23일(현지 시간) 폭스비즈니스에 따르면 유럽 최대 배송 업체인 독일 DHL은 홈페이지를 통해 “22일부터 상품이 포함된 미국행 소포와 우편물을 접수·운송할 수 없게 됐다”고 밝혔다. DHL은 “미국 당국이 우편 배송과 관련해 기존 규정과 다른 새로운 절차를 도입했다”며 미국의 관세 면제 정책 폐지를 이유로 들었다. DHL은 배송 중단이 일시적이라고 설명하면서도 “미국 당국이 요구하는 새로운 우편 배송 절차가 기존 규정과 달라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향후 관세를 누가 어떻게 (관세를) 징수할지, 어떤 추가 데이터가 필요한지,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에 데이터를 어떻게 전송할지 등 핵심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았다”며 우려를 표했다.
덴마크, 스웨덴,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프랑스, 벨기에 등 유럽 각국 우편 서비스도 미국 배송 중단을 발표했다. 영국 로열메일도 같은 이유로 미국행 소포 배송 업무를 중단했다고 BBC가 보도하기도 했다.
아시아에서는 싱가포르와 태국이 새 규정이 명확해질 때까지 배송을 보류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달 행정명령을 통해 오는 29일 0시 현지 도착분부터 소액 소포에 대한 관세 면제 혜택을 폐지하기로 했다. 면세 대상 소형 우편물이 펜타닐 등 불법 약물의 반입 통로가 된다는 게 이유다. 그동안 미국은 해외에서 반입되는 800달러 이하 물품에 대해 관세를 면제했었다. 테무, 쉬인 등 중국 이커머스 업체들이 이 제도를 적극 활용해 미국 내 시장 점유율을 급속도로 확대하기도 했다. 그러나 앞으로는 서류나 편지 등을 제외한 모든 미국행 우편물은 신고 및 관세(15%) 부과 대상이 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