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0.8%에서 0.9%로 소폭 상향 조정했다.
한은은 28일 발표한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0.9%로 제시했다.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 집행 효과 등을 반영해 지난 5월 전망보다 0.1%포인트 높였다.
이번 한은 전망치 0.9%는 국제통화기금(IMF)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각각 제시한 0.8%보다 높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제시한 1.0%보다 낮은 수준이다.
또 지난달 말 기준 주요 해외 투자은행(IB) 8곳 평균 전망치(1.0%)보다 낮고 정부 전망치와는 같다.
한은은 올해 전망치를 지난 2023년 11월(2.3%) 이후 지난해 5월(2.1%), 11월(1.9%), 올해 2월(1.5%), 5월(0.8%) 등으로 지속해서 낮추다 이번에 처음 높였다.
한은은 지난 5월 경제전망 때 대미 평균 관세율이 15% 수준인 점을 전제로 성장률 전망을 내놓았다. 이번에는 2차 추경을 반영해 0.1%포인트 더 높였다.
미국 관세 불확실성과 그에 따른 수출 둔화 우려가 여전히 나오지만 이번 전망에서 큰 변수로 작용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내년 성장률 경우 기존 전망치인 1.6%를 유지했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1.9%에서 2.0%로 높였다. 원·달러 환율이 다시 1400원대에 육박한 가운데 폭염, 폭우 등 계절적 요인에 따른 물가 상승 요인 등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 역시 기존 1.8%를 1.9%로 높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