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 대체거래소(ATS) 넥스트레이드(NXT)가 다음 달 4일 출범 6개월을 맞는다. 이달 일평균 거래 대금이 한국거래소의 절반에 가까운 것으로 집계돼 넥스트레이드가 국내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31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8월 한 달 한국거래소의 일평균 거래대금은 15조 4263억 원이다. 같은 기간 넥스트레이드의 일평균 거래대금은 7조 2392억 원으로 한국거래소의 46.9%를 차지했다. 한국거래소 대비 주식 시장 전체 거래 대금 비중은 31.9%로 출범 첫 달 3.8% 대비 9배 넘게 폭등했다. 3월 초 출범 당시 10개에 불과하던 상장 종목 수도 800개 가까이로 불어났다.
업계 관계자들은 넥스트레이드 안착으로 국내 주식 시장에 복수 경쟁체제가 성공적으로 도입됐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관계자들은 넥스트레이드의 성공 요인으로 프리마켓(오전 8시~8시 30분)과 애프터마켓(오후 3시 30분~9시)을 개설하며 주식 거래 시간을 대폭 늘린 점을 꼽았다. 넥스트레이드 출범 이후 기존 6시간 30분이었던 주식 거래 시간은 12시간으로 대폭 늘어났다.
업계 관계자는 “업무 시간 주식을 거래하는 데 한계가 있었던 직장인들이 출퇴근 시간에 애용하는 중"이라며 “특히 기존보다 미국 시장 상황에 한발 앞서 대응할 수 있다는 점이 강점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프리마켓과 애프터마켓이 넥스트레이드 전체 거래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3.6%에 달했다. 거래대금 비중 역시 30%를 넘었다.
실적 면에서도 순항 중이다. 영업 보고서에 따르면 올 상반기 넥스트레이드는 14억 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다만 분기별로 보면 올 1분기 71억 원의 순손실에서 올 2분기 57억 원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에 성공하며 상승세를 보였다.
하지만 가파른 상승세가 오히려 성장 걸림돌이 되고 있기도 하다. 자본시장법 시행령상 넥스트레이드와 같은 대체거래소는 최근 6개월 일평균 거래량이 시장 전체 거래량의 15%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현재로선 15% 초과 가능성이 매우 큰 상황으로 해당 규정은 다음 달 30일 처음 적용된다. 이에 넥스트레이드는 20일 26개 종목의 거래를 일시 중지하며 거래량을 조정 중이다. 다음 달 1일에는 53개 종목을 추가로 매매체결대상 종목에서 제외할 방침이다.
일각에선 금융 당국이 곧 해당 규제를 완화하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다만 최근 한국거래소가 연내 넥스트레이드와 동일한 12시간으로 거래 시간 연장 계획을 검토 중에 있다는 사실이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거래소의 거래 시간이 늘어날 경우 거래량 초과 문제가 자연히 해소될 가능성이 클 것이라는 분석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