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미래 먹거리를 책임질 ‘부산형 해양신산업’의 청사진 마련에 본격 착수했다.
부산시는 ‘부산형 해양신산업 선도전략 수립 정책연구’를 추진한다고 2일 밝혔다. 이 연구는 지자체 차원에서 해양 신산업을 체계적으로 정의하고 육성 전략을 세우는 첫 사례로, 부산이 ‘글로벌 해양수도’로 도약하기 위한 핵심 기반이 될 전망이다.
이번 정책연구는 ‘해양신산업 선도 분야 발굴 및 육성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이 내년 5월까지 10개월간 수행한다. 연구는 국가 정책 방향과 연계한 비전·목표 설정, 분야별 육성 전략, 연안과 내륙 거점을 아우르는 단계별 로드맵 수립에 초점을 맞춘다. 연구 범위는 시간적으로 2026년부터 2050년까지, 공간적으로는 부산권 연안·내륙 산업거점 전반을 포괄한다.
정책연구는 스마트해양모빌리티, 블루파이낸스, 블루푸드, 저온유통(콜드체인), 해양바이오, 스마트해양물류, 해양에너지, 해양레저관광, 극지 연구개발(R&D) 등 부산이 선도할 수 있는 신산업 전 분야를 총망라한다. 기존 산업과 신기술을 융합해 새로운 시장과 일자리를 창출하고 세계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산업 생태계 구축이 목표다.
시는 이번 연구 결과를 새 정부 해양수산 정책과 연계해 국가 과제화를 추진, 중앙정부 사업 유치에도 나설 계획이다. 이를 통해 ‘부산판 메가프로젝트’로 성장 가능한 전략 과제를 발굴한다는 구상이다.
정책연구에는 시가 지난해 출범시킨 ‘해양싱크탱크 전담팀(TF)’도 힘을 보탠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한국기계연구원 등 지역 내 주요 연구기관이 참여해 전문 역량을 결집한다. 지원기관으로는 한국해양진흥공사·부산테크노파크 등이 협업해 정책 추진의 실효성을 높인다.
착수보고회는 3일 오후 한국해양수산개발원에서 열린다. 박근록 시 해양농수산국장을 비롯해 부산과학기술고등교육진흥원, 해양싱크탱크 연구자 등 20여 명이 참석한다.
박 국장은 “이번 정책연구를 통해 부산형 해양신산업의 청사진을 제시하고 ‘글로벌 해양수도 부산’으로 도약하는 첫걸음을 내디딜 것”이라며 “부산형 해양신산업 전략을 국가 정책과 긴밀히 연계해 글로벌 해양수도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