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민 조국혁신당 대표 권한대행이 5일 당내 성비위 은폐 의혹에 대해 “다시는 같은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근본적 쇄신을 강도 높게 추진하겠다”며 전날(4일) 탈당을 선언한 강미정 전 대변인과 피해자에게 사과했다.
김 권한대행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온전한 피해 회복이 이뤄질 때까지 노력하겠다”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피해자 중심 사건 처리를 중시했지만 노력이 부족했던 것 같다”며 “사건 처리 과정이 부족했다. 소홀한 부분을 냉정하게 되짚어 보겠다”고 했다.
김 권한대행은 사과와 함께 구체적인 사실 관계를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지난 4월 당내 성비위 사건과 괴롭힘 사건이 당에 접수됐다. 성비위 사건은 각자 피해자와 가해자가 서로 다른 2건이었다.
혁신당은 피해자 측 요구에 따라 외부기관에 조사를 의뢰하는 한편 당내 인권향상 특위를 구성했다. 여기에는 피해자가 추천한 인사도 참여했다. 혁신당 윤리위원회는 2건의 성비위 사건에 대해 가해자와 친분 있는 위원들을 배제한 상태에서 외부 기관에 의뢰해 조사했다. 직장 내 괴롭힘 사건의 경우 당내 기구인 인사위원회에서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에 따라 당 윤리위원회는 성비위 2건의 가해자에게 각각 제명과 당원권 정지 1년의 중징계를 내렸다. 직장내 괴롭힘에 대해서는 가해자에게 감봉 조치를 의결했다. 또한 당내 인권 향상·문화향상 이행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재발 방지를 위한 당규 제정 절차도 밟았다. 다만 피해자 지원책 중 의료비 지원과 관련해서는 “피해자 측과 당의 견해가 달라 아직 집행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김 권한대행은 세종시당 위원장의 제명은 “성비위 사건과 무관한 일”이라고 해명했다. 피해자 측은 해당 사건과 관련해 세종시당 위원장 A씨가 당의 쇄신을 주장하자 지난 1일 제명됐고 힘을 더했던 운영위원 3명도 징계를 받았다고 주장한 바 있다. 김 권한대행은 “A씨가 당헌 규정을 위반해 권한 없는 자치 규칙 제정을 시도하는 등 사유로 징계 요청이 접수됐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권한대행은 “혁신당은 이번 사안을 뼈아픈 교훈으로 삼겠다”며 “앞으로도 성비위, 괴롭힘 사건은 무관용 원칙으로 단호하게 대처하겠다”고 거듭 전했다. 이날 자리에는 조국 혁신당 혁신정책연구원장은 참여하지 않았다. 그는 4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을 통해 “큰 상처를 받으신 피해자분들께 깊은 위로를 전한다”면서도 “당시 당적 박탈로 비당원 신분이어서 할 수 있는 역할이 없었다”고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