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급한 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영향으로 햄버거·카페·학원 등 생활 밀착 업종에서의 결제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1일 앱 결제 데이터 기반 시장 분석 솔루션 와이즈앱·리테일은 ‘리테일 브랜드 업종별 결제추정금액 상승률’을 조사해 이 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지난 7~8월 만 20세 이상 한국인의 신용카드·체크카드·계좌이체·소액결제 내역에서 전년 동기 대비 결제추정금액 상승률이 가장 높았던 업종은 햄버거(34.2%)였다.
이어 카페(33.3%), 학원(31.7%), 안경·렌즈(31.2%), 피자(27.1%) 순으로 이어졌고, 외식·배달(19.5%), 제과·간식(17.5%), 편의점(8.3%), 영화관(6.7%)도 모두 증가세를 기록했다.
정부는 지난 7월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1차로 지급했다. 당시 전체 대상자의 99%에 해당하는 5008만명이 신청, 총 9조693억원이 지급됐다.
일각에서는 특정 업종에만 소비가 집중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지만, 실제로는 외식·간식뿐 아니라 학원·안경·영화관 등 여러 분야에서 소비가 분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액 결제가 많은 햄버거·카페 업종은 전 연령대에서 이용이 활발해 정책 효과가 두드러졌다는 분석이다.
이번 조사는 각 업종별 주요 리테일 브랜드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와이즈앱·리테일은 "신용카드, 체크카드, 계좌이체, 휴대폰 소액결제 등 개인 결제 내역을 기반으로 해당 서비스에서 결제한 금액을 추정한 것"이라며 "법인카드나 기업 간 거래, 간편결제는 제외했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