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이후 달러인덱스(달러 가치)가 3.1% 오르는 동안 원·달러 환율은 6.1% 상승(원화 가치 하락)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달러인덱스는 유로화 등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6일 ‘커지고 있는 외환시장 균형 이탈 가능성’ 보고서에서 “최근 환율이 급등한 가운데 주요국 대비 환율 변동성도 높은 수준을 보이는 등 국내 외환시장 불안정성이 확대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은 지난 9월 16일 1378.9원까지 하락했다가 달러 강세에 이달 11일 1463.3원으로 상승했다. 같은 기간 달러인덱스가 96.6에서 99.7로 약 3.1% 올랐는데, 원·달러 환율은 두 배인 6.1%나 뛰었다. 원·달러 환율 변동률은 엔·달러(4.6%), 달러·유로(-1.7%), 위안·달러(0.1%)보다도 컸다. 원화 평가 절하가 유난히 두드러지는 셈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최근 환율 변동성을 키우는 요인으로 △미국 관세 정책 리스크 △미국 통화정책 불확실성 등을 꼽았다. 미국 관세정책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대미 투자 방식이 지난달 말에야 확정되면서 원화 약세 압력이 커졌고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금리인하 경로 불확실성도 환율 변동성을 키웠다는 것이다. 또 단기자금시장에서 달러 유동성 부족 우려, 재정 확대 기대감에 약세를 나타낸 엔화와의 동조화, 인공지능(AI) 거품론 등으로 시작된 안전자산 선호 심리도 환율 상승에 영향을 줬다. 코스피가 연초 대비 약 76% 상승하면서 외국인 투자가의 차익 실현 매물이 나오고 있는 점도 원화 약세를 부추길 수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abc@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