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훈부는 제86주년 순국선열의 날인 17일을 맞아 일본 경찰에 검거된 재일한국인을 확인할 수 있는 일본 국립공문서관 자료인 문서를 발굴·공개했다.
이번에 공개한 문서는 1932년부터 1945년까지 학생운동과 반제국주의 운동 등에 참여하다가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검거된 재일한국인의 명단이 담긴 ‘검거색인부’와 ‘검거인명부’다.
일본은 1911년 경시청 특별고등과를 시작으로 1928년 일본 모든 부현에 특별고등과를 설치해 자유주의, 민주주의, 사회주의 등에 기반한 운동을 탄압하며 체제를 강화했다.
검거색인부와 검거인명부는 그 과정에서 당시 일본 경시청 관할지인 도쿄 산하 경찰서에서 검거한 한국인과 일본인의 인명을 저리한 총 601쪽 분량의 자료다. 일본 경시청 특별고등과에서 편철해 관리했다.
검거색인부는 분량이 269쪽으로 1933년부터 1937년까지 검거된 한국인 134명의 인명과 검거일, 석방일, 구류일 등이 적혀 있다. 332쪽 분량인 검거인명부는 1932년부터 1933년, 1940년부터 1945년까지 검거된 한국인 191명의 인명과 본적, 직업, 학력, 검거일, 석방일, 구류일 등이 기록돼 있다.
보훈부는 두 자료를 분석해 전체 6000명 이상의 검거자 중 항일 운동에 참여한 한국인 261명의 정보를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은 “정부는 앞으로도 일본 경찰 자료 등 독립운동 관련 문서를 지속적으로 수집·분석해 독립유공자를 한 분이라도 더 발굴·포상해 예우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hhlee@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