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예지 국민의힘 의원이 19일 ‘장애인 비하 발언’으로 논란이 된 박민영 국민의힘 미디어대변인과 관련해 “(당사자로부터 사과를) 전달받은 바 없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마친 뒤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말했다. 앞서 박 대변인은 지난 12일 한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장애인을 너무 많이 할당을 해서 문제라고 본다” “(김 의원은) 왜 국민의힘에서 공천을 받으려고 하느냐”는 등의 발언을 한 바 있다.
전날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논란과 관련해 “자그마한, 내부적인 일을 가지고 오랫동안 집착해 기사화하려고 하느냐”고 발언한 것을 두고는 “같은 원내에서 일하는 후배 의원으로서는 갑작스러운 질문에 대한 당황함이 드러나 경황이 없이 그렇게 얘기하셨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며 “저의 간절한 바람”이라고 강조했다.
당 지도부가 박 대변인에 대한 징계 없이 구두 경고로 넘어간 것을 두고는 “그분들이 말씀하시는 ‘인재는 지켜야 한다’는 말씀에 대해서는 개인 김예지로서 이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는 “피해자로서 입장을 말씀 드리는 것과 당에서 일하는 사람으로서 말씀을 드리는 게 적절성이 굉장히 다르다”며 “제가 지금 말씀을 드리면 또 다른 논란을 낳을 수 있어 신중하게 사안을 경찰에 고소한 바 있다”고 했다. 이어 “저는 좋은 방향으로 약자와 동행하는 국민의힘이 되길 바라는 바람이 있다”고 덧붙였다.
경찰 고소 배경에 대해서는 “방송을 시청하거나 하지 않기 때문에 많은 시민분들께서 알려주셨다”며 “이건 굉장한 인권 침해고 모욕이고 제가 가만히 있지 않기를 바란다는 말씀을 많이 주셨다”고 했다. 김 의원은 “민의다. 개인적인 일이라면 넘어갔겠지만 움직여줬으면 한다는 제보가 많았다”며 “장애인이자 여성으로 교차적 차별에 시달리는 분들을 위해 행동해달라는 비장애인들이 많았다”고 밝혔다. 그는 “시민분들이 보여주신 노력이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그리고 또 전체 사회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생각을 해봐야겠다는 생각으로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magnetic@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