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외국 반도체에 10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해온 가운데 조만간 부과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로이터통신이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19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미 정부 관계자들은 지난 며칠 동안 정부 및 민간 산업계 이해관계자들에 이 같은 메시지를 전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8월 반도체에 100%의 관세를 부과하되 미국에서 반도체를 생산하거나 생산을 약속한 기업들에는 관세를 면제해주겠다고 말한 바 있다. 이에 업계에서는 미국의 무역확장법 232조에 기반한 반도체 품목관세가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왔다.
관련기사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무역 문제로 중국과 마찰이 커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반도체 관세 부과를 미루려 하고 있다고 이 매체는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미중 무역전쟁이 재발할 경우 희토류 공급 중단 문제가 다시 불거질 수 있는 점도 미국에는 부담스러운 요소다.
연말 미국의 추수감사절을 기점으로 대규모 쇼핑시즌이 도래하는 가운데 반도체 관세 부과 시 안 그래도 높은 물가를 추가로 자극할 수 있단 점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수입 반도체에 대한 관세 인상은 냉장고부터 스마트폰 등 대부분의 전자제품 가격을 끌어올릴 수 있다.
최근 지방선거에서 참패한 트럼프 대통령은 있는 관세도 면제를 해주는 모습이다. 최근 바나나, 커피 등은 상호관세에서 면제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한 바 있다.
백악관과 미 상무부는 입장을 바꿨다는 주장을 부인했다. 백악관 측은 "트럼프 행정부는 제조업을 국내로 복귀시키기 위해 행정권한을 최대한 활용하는 데 전념 중"이라고 밝혔다. 상무부도 "반도체 232조와 관련된 정책에는 변화가 없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lassic@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