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스마트 건설 강소기업 선정해 향후 3년간 역량 강화, 시장 진입 등 전방위적인 지원에 나선다.
국토교통부는 성장 잠재력이 큰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7일부터 4주간 스마트건설 강소기업 20곳을 모집한다고 6일 밝혔다.
선정 기업은 향후 3년간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지원 기간은 2년 연장 가능하다. 역량 강화 분야에서는 최대 3000만 원의 기술 개발 비용을 지원하고, 기업 진단 및 이와 연계한 전문가 컨설팅도 추진한다.
금융 지원으로는 기술을 상품화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자금을 지원하기 위해 국토교통 혁신펀드 등을 활용할 예정이다.
시장 진입을 위해서는 현장 실증 기회 제공에 최대 1500만 원을 투자하며, 건설공사정보시스템에 강소기업으로 공시해 홍보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올해부터는 테크로드쇼 참여 기회 제공, 해외 진출 지원 등 판로 개척도 추가 지원한다.
아울러 강소기업들의 재무 평가를 강화하기 위해 올해부터는 신용등급 결격 기준을 기존 ‘B-’ 미만에서 ‘B0’ 미만으로 상향할 예정이다. 심층평가위원에 회계사와 투자·심사 전문가 등을 추가해 재무 건전성도 면밀히 평가할 계획이다.
스마트건설 강소기업 선정·지원 사업은 창업 단계의 새싹기업 지원 사업, 기술개발 단계의 기술 실증 지원 사업과 함께 유망 중소기업들의 선순환 성장 구조를 마련하기 위해 2023년 시작돼 올해로 3년째를 맞았다. 2년간 3차원 건설정보모델링(BIM), 탈현장 건설, 건설자동화, 디지털 센싱, 스마트 안전, 빅데이터 플랫폼 등 다양한 스마트건설 분야에서 총 40개 기업이 선정됐다. 선정된 기업들 중 시제품 제작 지원을 받은 기업은 37곳, 기술 현장적용 지원을 받은 기업은 18곳으로 여러 성과를 냈다.
스마트건설 강소기업 선정을 희망하는 기업은 7일부터 6월 5일까지 공고문에 첨부된 신청서를 전자우편으로 제출해야 하며, 공고문 등 자세한 사항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태병 국토교통부 기술안전정책관은 “건설산업을 떠나는 청년들의 재유입과 건설 산업 재도약을 위해서는 스마트건설 활성화가 필수이며 지속 가능한 스마트건설 생태계가 구축될 수 있도록 중소기업 육성 등 지원 정책들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