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
작년 금융기관이 대신 갚은 빚 13兆
경제·금융금융정책 2024.05.22 14:51:07고금리·고물가가 장기화하면서 금융공공기관이 차주를 대신해 갚은 빚이 전년보다 2배 넘게 늘었다. 22일 금융 당국과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등에 따르면 13개 금융공공기관·금융공기업의 지난해 대위변제액은 13조 4412억 원으로 전년 대비 130.6%나 증가했다. 13개 보증기관은 주택도시보증공사·한국주택금융공사·서울보증보험·서민금융진흥원·신용보증기금·지역신용보증재단·기술보증기금·한국수출입은행·산업은행·중소기업은행·한국무역보험공사·한국해양진흥공사·한국자산관리공사 등이다. 대위변제액이 가장 많은 기관은 주택도시보증공사다. 주택도시보증공사의 지난해 대위변제액은 4조 9229억 원으로 2022년(1조 581억 원) 대비 365.3% 급증했다. 부동산 경기 침체에 전세사기와 전세보증금반환보증 사고가 빈발했기 때문이다.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경제 상황이 악화하면서 신용보증기금의 지난해 대위변제액(2조 2759억 원)도 전년보다 67.4% 늘었다. 이 외 지역신용보증재단(5076억 원→1조 7126억 원), 한국주택금융공사(3375억 원→6357억 원), 서민금융진흥원(3673억 원→1조149억 원) 등의 대위변제액도 크게 증가했다. -
<코>비아이매트릭스, 상한가 진입.. +30.00% ↑
증권News봇 2024.05.22 14:49:12오후 2시 49분 현재 비아이매트릭스(413640)가 +30.00% 오른 11,960원(▲2,760)으로 장중 상한가에 진입했다. 거래대금은 696억9,198만, 거래량은 624만6,344주를 기록하고 있으며, 수급측면으로는 49(매도):51(매수)의 매수우위를 보이고 있다.비아이매트릭스는 전일 하락(9,200원, ▼-100, -1.08%) 마감했으나, 이 시각 현재 장중 상한가를 기록하며 강세를 보이고 있다.지난 1개월간 비아이매트릭스는 상승 13회, 하락 16회를 기록했고, 주가수익률은 30.85%였다. 이 기간 '소프트웨어업' 업종 평균 주가수익률은 -1.10%를 기록했다.현재 '소프트웨어업' 총 123개 종목 중 상승 종목은 37개로, 일부 종목만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비투엔(307870) +9.92%, 엑스큐어(070300) +8.23%, 루닛(328130) +6.15%)[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코>압타머사이언스, 현재가 6.56% 급락
증권News봇 2024.05.22 14:45:43오후 2시 45분 현재 압타머사이언스(291650)의 현재가는 2,920원으로 1분전 3,125원 대비 6.56% 급락했다. 수급측면으로는 60(매도):40(매수)의 매도우위를 기록하고 있다.지난 1개월간 압타머사이언스는 5.81% 하락했으며, 표준편차는 2.67%를 기록했다. 이 기간 '기타서비스업' 업종 평균 주가수익률은 -0.04% 로 나타났으며, 변동성은 1.58%를 기록했다. 이 시각 현재 '기타서비스업'은 0.50% 상승 중이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소비자원, 알리·테무 어린이용품 위해성 시험착수…삭제 요구
사회사회일반 2024.05.22 14:44:48한국소비자원이 중국 쇼핑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테무에서 판매 중인 어린이용품·화장품·자동차용품 등의 위해성 시험에 착수했다. 아울러 소비자원은 위해성 제품 차단을 위해 이들 업체와 '핫라인'을 구축하고 위해제품 차단과 삭제를 요구하기로 했다. 현재 소비자원 안전감시국은 알리·테무의 중국산 직구 제품 위해성 시험에 나섰다. 우선 시험 대상 품목은 피부에 직접 닿는 화장품과 안전성이 특히 요구되는 어린이용품 및 차량용품 등이다. 앞서 서울시와 관세청이 알리·테무의 어린이용품과 장신구 등을 검사한 결과 발암물질인 카드뮴과 납, 프탈레이트계 가소제(DEHP·DBP) 성분이 기준치를 훨씬 초과한 것으로 나타난 데 따른 대응으로 풀이된다. 소비자원의 위해정보팀·위해관리팀은 온라인 플랫폼 모니터링과 함께 해외 리콜 정보와 국내 온라인 카페·커뮤니티 등에서 위해 제품에 대한 각종 정보를 수집한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알리와 테무 위해제품 모니터링을 시작했으며 전담 인력도 배치하기로 하고 세부 사항을 논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소비자원은 또 알리·테무의 위해제품을 확인할 경우 플랫폼에서 즉각 차단·삭제 요구할 수 있도록 알리익스프레스 한국 지사 및 중국내 테무 담당자와의 핫라인을 구축했다. 이는 지난 13일 알리익스프레스 레이 장 한국 지사장과 쑨친 테무 공동설립자 겸 한국법인 대표가 공정거래위원회와 '자율제품안전협약'을 맺은 데 따른 것이다. 이미 소비자원은 2021년에는 쿠팡과 네이버 등 7개사, 작년에는 당근·중고나라 등 중고 거래 플랫폼과 각각 자율협약을 맺은 바 있다. 소비자원은 위해 제품 감시에 AI(인공지능)도 활용할 계획이다. 올해부터 3년 간 46억 원의 정부 예산을 투입해 AI·빅데이터 기술에 기반한 '지능형 위해정보 통합처리 플랫폼'을 구축할 방침이다. 현재는 사람이 직접 사이트를 뒤져 위해성 정보를 수집하고 있지만 플랫폼이 구축되면 키워드·사진 등을 활용해 AI가 자동으로 정보를 수집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기업들이 플랫폼에 접속해 자사 제품의 위해성 정보를 확인하고, 제품 차단 및 리콜과 관련한 이행 계획서 작성 등을 전산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중국산 직구 제품에 대한 국민 우려가 커 모니터링과 위해성 시험을 강화하고자 한다"며 "지능형 플랫폼이 완성되면 알리·테무를 비롯한 각종 쇼핑몰·플랫폼을 광범위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SEN] 이엔플러스"사우디 ‘아람코’ 자회사와 2차전지 합작법인 설립 협약"
증권종목·투자전략 2024.05.22 14:43:51[서울경제TV=김혜영기자] 이엔플러스(074610)는 사우디를 방문해 GCC Lab과 합작법인 설립을 전제로 한 ‘2차전지 및 최신기술 배터리 연구개발, 공급’ 목적의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르면 양사는 공동 출자해 연내 사우디 현지에 드라이전극 전문 연구소 법인을 설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신설되는 연구소는 사우디 현지에서 드라이전극 및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차세대 2차전지 제품에 대한 연구개발(R&D)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어 양사는 프로토타입 제품 개발 이후 추가 투자를 단행해 현지에 대규모 양산 시설을 구축할 방침이다. GCC Lab은 아람코를 비롯해 사우디 전력청(Saudi Electricity Company), 사우디 공공투자기금(PIF) 등이 공동 출자해 설립한 기관이다. 사우디 담맘(Dammam) 지역에 약 17만제곱미터에 달하는 대규모 에너지 연구소 단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전기·전력제품에 대한 국제 성능인증과 시험·검사를 수행하고 있다. 이엔플러스 관계자는 “드라이전극은 전기차와 ESS 등 모든 배터리 제조에 적용 가능한 기술이기 때문에 에너지 분야에 관심이 많은 사우디 측 기관과 많은 논의를 가져왔다”며 “회사의 기술력을 높이 평가받아 글로벌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이번에 합작법인을 설립키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어 “다만, 연구소 개설 이후 프로토타입 개발까지는 최소 반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짧지 않은 기간이지만, 향후 본격적으로 양산 단계까지 진입하면 이엔플러스의 강력한 글로벌 거점 기지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hyk@@seadaily.com -
[특징주] SK하이닉스 52주 신고가…'20만닉스' 눈앞
증권국내증시 2024.05.22 14:43:47SK하이닉스(000660)가 52주 최고가를 경신하며 '20만 닉스'에 다가섰다. 엔비디아 실적 발표를 앞두고 외국인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주가를 끌어올리고 있다.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이날 오후 2시 36분 기준 전날보다 2.60%(5000원) 오른 19만7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오전 19만6200원을 찍으며 52주 최고가를 경신한 SK하이닉스는 이후에도 상승폭을 확대하고 있는 모습이다. SK하이닉스의 강세는 세계 반도체 대장주인 엔비디아 호실적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엔비디아는 인공지능(AI) 연산에 필요한 그래픽처리장치(GPU) 시장을 주도하고 있어 최근 실적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21일(현지 시간) 뉴욕 증시에서 엔비디아는 6% 오른 953.86달러를 기록했다.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가 만드는 AI 연산용 GPU에 들어가는 고대역폭메모리(HBM) 반도체를 가장 큰 비중으로 공급하고 있다. -
"월 최대 1.3만원 결제일 할인"…BC카드, ‘KT 마이알뜰폰 BC바로카드’ 출시
경제·금융카드 2024.05.22 14:43:04BC카드가 KT와 함께 알뜰폰 요금제를 이용하는 고객을 위한 ‘KT 마이알뜰폰 BC바로카드’를 출시했다고 22일 밝혔다. 이 카드는 KT와 제휴된 31개 알뜰폰 사업자의 요금제를 해당 카드로 자동납부할 때 전월실적에 따라 매달 최대 1만3000원의 결제일 할인 혜택을 제공하며 SK 주유소 1% 결제일할인 혜택도 주어진다. BC카드는 상품 출시에 맞춰 올해 7월 31일까지 해당 카드를 발급 받고 매달 KT 알뜰폰 요금을 2만 원 이상 결제하는 고객에게는 2년 간 월 최대 1만2000원을 추가 할인하는 이벤트도 진행한다. 예컨대 전월 실적이 30만 원 이상 70만 원 미만이고 해외겸용 카드를 사용하는 고객이라면 기본 7000원 할인에 이벤트 적용 할인 1만 2000원을 합해 총 1만9000원의 결제일 할인이 적용된다. 김민권 BC카드 상무는 “BC카드는 KT와 함께 그룹 시너지를 바탕으로 통신비 할인에 특화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보다 많은 고객이 부담 없이 KT의 통신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도록 양사 간의 시너지를 지속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
<유>후성, 장중 신저가 기록.. 7,040→7,010(▼30)
증권News봇 2024.05.22 14:42:57오후 2시 42분 현재 후성(093370)이 1.13% 내린 7,010원(▼80)을 기록하며, 52주 신저가를 -30원 경신했다. 기존 52주 최저가는 2024년 05월 21일 기록한 7,040원이다. 체결강도는 48%로 강세 반전했다. 총매수체결량은 90,201주, 총매도체결량은 188,758주를 각각 기록했다. (※ 체결강도(%) = (총매수체결량/총매도체결량)*100)이 시각 현재 거래대금은 20억7,741만, 거래량은 29만4,431주를 기록하고 있으며, 수급측면으로는 68(매도):32(매수)의 매도우위를 보이고 있다.거래일을 기준으로 최근 3일간 평균 거래량은 3십9만1천주, 60일 평균 거래량 4십3만3천주로 비슷한 수준의 거래량을 유지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SEN] 비아이매트릭스, '생성형 AI 데이터 분석 솔루션' 금융권 공급
증권종목·투자전략 2024.05.22 14:41:42[서울경제TV=김혜영기자] 비아이매트릭스(413640)는 ‘롯데캐피탈 대화형 데이터 분석 시스템 구축 사업’을 수주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생성형 AI 기반 데이터 분석 솔루션 ‘G-MATRIX’를 공급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비아이매트릭스는 이번 계약을 통해 금융권에 생성형 AI 기반 데이터 분석 솔루션을 제공하게 된다. 지난해 9월 생성형 AI가 적용된 G-MATRIX 출시 이후 첫 공급 사례다. 비아이매트릭스는 롯데캐피탈의 사전 테스트에서 탁월한 데이터 응답 정확도를 기록하면서 공급계약 체결에 성공했다. G-MATRIX는 ‘i-META’ 모듈을 바탕으로 최소한의 정보만 학습해 AI의 정확도가 극대화된 것이 특징이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금융권의 생성형 AI 솔루션 도입 수요는 높으나, 기존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은 보안에 취약해 적용에 한계가 있었다. G-MATRIX는 구축형(On-premise)이기 때문에 보안에 문제없이 업무 과정에서 사용할 수 있고, G-MATRIX가 On-Premise 방식이면서 정확도가 뛰어난 점을 높이 인정받아 보안에 민감한 금융권에 국내 최초로 공급하게 됐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G-MATRIX는 생성형 AI가 적용된 솔루션으로 복잡한 데이터의 신속한 탐색과 분석이 가능하다. 비아이매트릭스의 자연어 처리 기술이 적용돼 사용자가 대화로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고 분석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비아이매트릭스는 향후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이어나가 G-MATRIX에 고도화된 AI 기술을 활용해 예측 기능까지 탑재하는 등 향후 출시되는 후발 제품과의 격차를 실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비아이매트릭스 관계자는 “G-MATRIX는 생성형 AI 기술을 적용해 사용자의 데이터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데이터 활용도와 생산성을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라며 “이번 수주를 기점으로 보안을 중요시하는 금융권뿐 아니라 대기업과 공공기관 등에서도 생성형 AI 도입을 위한 러브콜이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hyk@@seadaily.com -
<코>에프엔씨엔터, 장중 신저가 기록.. 3,635→3,630(▼5)
증권News봇 2024.05.22 14:41:12오후 2시 41분 현재 에프엔씨엔터(173940)가 2.94% 내린 3,630원(▼110)을 기록하며, 52주 신저가를 -5원 경신했다. 기존 52주 최저가는 2024년 05월 21일 기록한 3,635원이다. 체결강도는 71%로 강세 반전했다. 총매수체결량은 89,559주, 총매도체결량은 125,766주를 각각 기록했다. (※ 체결강도(%) = (총매수체결량/총매도체결량)*100)이 시각 현재 거래대금은 9억2,014만, 거래량은 22만8,327주를 기록하고 있으며, 수급측면으로는 58(매도):42(매수)의 매도우위를 보이고 있다.거래일을 기준으로 최근 3일간 평균 거래량은 2만주, 60일 평균 거래량 1만5천주로 최근 거래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추세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코>셀리드, 현재가 5.18% 급락
증권News봇 2024.05.22 14:40:36오후 2시 40분 현재 셀리드(299660)의 현재가는 4,115원으로 1분전 4,340원 대비 5.18% 급락했다. 수급측면으로는 53(매도):47(매수)의 매도우위를 기록하고 있다.지난 1개월간 셀리드는 1.11% 상승했으며, 표준편차는 2.14%를 기록했다. 이 기간 '기타서비스업' 업종 평균 주가수익률은 0.08% 로 나타났으며, 변동성은 1.58%를 기록했다. 이 시각 현재 '기타서비스업'은 0.62% 상승 중이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코>씨엔알리서치, 현재가 5.34% 급등
증권News봇 2024.05.22 14:39:37오후 2시 39분 현재 씨엔알리서치(359090)의 현재가는 1,775원으로 1분전 1,685원 대비 5.34% 급등했다. 수급측면으로는 52(매도):48(매수)의 매도우위를 기록하고 있다.지난 1개월간 씨엔알리서치는 10.73% 상승했으며, 표준편차는 6.15%를 기록했다. 이 기간 '기타서비스업' 업종 평균 주가수익률은 0.05% 로 나타났으며, 변동성은 1.58%를 기록했다. 이 시각 현재 '기타서비스업'은 0.59% 상승 중이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3년 넘은 청년도약계좌, 중도해지해도 최대 4.5% 이자
경제·금융금융정책 2024.05.22 14:39:20청년도약계좌를 3년 이상 유지하는 경우 적용되는 중도해지이율이 최대 4.5%까지 오른다. 22일 금융위원회는 서울 중구 청년도약계좌 비대면상담센터에서 ‘청년도약계좌 운영 점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공유했다고 밝혔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 가입자가 매달 70만 원 한도로 돈을 입금하면 정부가 기여금 등을 붙여 5000만 원가량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게 한 금융 상품이다. 이날 회의에서 은행권은 청년도약계좌(만기 5년) 가입 뒤 3년 후 중도 해지한 소비자에게 3.8~4.5%의 이율을 적용한다고 밝혔다. 당초 은행권은 1.0~2.4%의 중도해지이율을 매겼다. 하지만 5년 만기를 채우는 데 부담을 느끼는 청년이 많다는 지적이 이어지자 이를 개선한 것이다. 금융위는 “은행권이 청년도약계좌의 자산 형성 지원 취지를 고려해 중도해지이율을 은행권 3년 만기 적금 금리인 3.0~3.5%보다 높은 수준으로 설정했다”고 설명했다. 상향된 중도해지이율과 정부기여금, 이자소득 비과세 등을 감안하면 연 6.9%의 일반 적금 상품(2400만 원 이하 소득, 매달 70만 원 납입 가정)에 가입한 수준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고 금융위는 설명했다.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청년도약계좌가 자산 형성 축적의 기틀이자 청년층 자산 포트폴리오의 기초가 돼야 한다”면서 “다음 달 다양한 유형의 청년들이 참여하는 ‘포커스그룹’을 구성하고 아이디어를 수렴하겠다”고 했다. 한편 금융위는 청년도약계좌가 출시된 지난해 6월 이후 올 4월까지 약 123만 명이 가입했다고 밝혔다. 평균 납입 잔액은 469만 원이며 정부기여금 수령액은 평균 17만 원으로 집계됐다. -
NHN클라우드, 아이큐브 원과 맞손…日 시장 공략 가속
산업IT 2024.05.22 14:39:14NHN클라우드가 해외사업 전략 지역인 일본 시장에서 신규 협력사 확보 등 파트너십을 강화하며 시장 공략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NHN클라우드는 품질보증(QA) 서비스를 중심으로 활발히 사업을 펼치고 있는 일본 기업 ‘아이큐브 원(AIQVE ONE)’과 모바일 앱 보안 서비스 ‘NHN앱가드(NHN AppGuard)’의 판매 제휴를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아이큐브 원’은 일본에서 인공지능(AI) 및 자동화 기술을 활용해 게임, 웹 등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전문적인 품질 테스트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이번 계약으로 ‘아이큐브 원’은 NHN앱가드 리셀러로서 현지 판매를 전개한다. 특히 ‘아이큐브 원’의 주요 고객군인 NHN앱가드가 이미 다수 고객사를 확보한 게임영역에서 전략적인 영업을 펼쳐 나갈 예정이다. NHN클라우드는 양사가 보유한 버티컬 서비스 강점을 바탕으로 앱 보호와 품질보증 양면에서 사업적 시너지가 발휘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일본 시장에서 현지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NHN앱가드 사업을 적극 펼친다는 계획이다. 향후 NHN클라우드는 다른 버티컬 서비스부터 서비스형 인프라(IaaS)까지 판매 영역을 확대할 예정이다. 김동훈 NHN클라우드 대표는 “일본 시장에서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신뢰와 성과를 축적하며 고객층을 점차 확대해 나갈 것”이라며 “이와 함께 국내 시장에서 인정받은 서비스 라인업을 현지에서 선보이며 일본 사업을 확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중·소 농가 경영부담 경감…강원도, 반값 농자재 사업 내실화 주력
사회전국 2024.05.22 14:37:38강원특별자치도가 올해 시행 2년 차를 맞은 반값 농자재 사업에 대한 내실화 및 홍보 활동에 주력한다. 지난해 전국에서 처음으로 도입된 이 사업은 국제유가 상승, 원자재 수급불안, 농자재 가격급등에 따른 농업인의 경영 부담을 덜기 위한 고민에서 시작된 민선 8기 도정 핵심 공약이다. 지난해 6만 7000농가에 573억 원의 영농자재를 지원하고, 중·소규모 농가 중심의 영농자재비를 지원해 경영안정뿐 아니라 농업 관련 전후방산업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가시적인 성과를 보였다. 현장의 호응도 좋았다. 올해는 세수 감소에도 불구, 전년과 동일하게 사업규모를 유지해 사업의 내실화와 홍보·확산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행정절차를 최대한 간소화 해 농업인의 편의를 돕고, 부정수급 방지에 최선을 다해 대상농가가 빠짐없이 지원 받을 수 있도록 역점 추진 중이다. 특히 올해는 귀농·귀촌 신규농업인의 경우 지원요건을 기존 2년 이상 등록돼 있어야 했던 것을 1년 이상으로 완화해 귀농·청년 농업인의 농촌 유인책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청년농업인의 자녀가 독립적으로 영농활동을 할 경우 별도의 지원책도 마련했다. 강원자치도 관계자는 “반값 농자재 지원은 중·소규모 농가의 경영부담 경감이 핵심”이라며 “앞으로 농업인의 소득 향상에 필요한 다양한 대책을 마련·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