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설문에서는 계층상승에 대한 세대 간 인식차이가 여실히 드러났다. 30~40대가 가난의 대물림에 대해 심각한 반감을 보인 반면 50대 이상은 상대적으로 덜했다. 해법에 있어서도 젊은 세대가 소득재분배 정책을 강력히 주문한 반면 장년층은 오히려 일자리를 만드는 해법을 더 선호해 대조적이었다.
16일 설문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부의 대물림, 가난의 대물림이 어떤 수준이라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 중 31.1%가 '매우 심각하다'고 답했고 '심각한 편'이라는 응답이 59.6%를 차지했다. 반면 심각하지 않은 편이라는 응답자는 8.5%, 전혀 심각하지 않다고 본 사람은 0.7%에 불과했다.
특히 30대의 인식이 나빴다. 연령대별 조사 결과 30대의 94.2%가 부의 대물림이 심각한 수준이라고 응답해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30대의 경우 사회생활을 시작하면서 주거와 결혼과 출산·육아 등으로 새로운 지출이 많은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부의 대물림에 대한 인식차는 전혀 다른 해법으로 나타났다. 30대(53.6%)와 40대(51.7%)가 '고소득층 세금확대를 통한 중산층·서민층의 복지확대'가 필요하다고 주장한 반면 50대(47.9%)는 '일자리 창출을 통한 소득증대'가 바람직하다고 답했다. 젊은 세대가 기성세대의 양보를 요구하는 것과 달리 기성세대는 파이를 키우는 방식이어야 한다고 맞선 셈이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누구나 자녀에게 재산을 물려주려는 욕구를 가지고 있지만 자녀의 인생이 부모의 부에 따라 결정될 정도여서는 곤란하다"며 "증여나 상속 절차의 투명성을 높여 경제주체들의 인식을 바꿔야 경제에도 활력이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