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쫓기는 한국' 고부가화가 살길

■ 中보고서로 본 업종별 대응전략반도체·차등 우위업종 R&D투자 대폭 늘려야 >>관련기사 민관 중국활용대책반이 26일 발표한 중국보고서는 중국의 산업경쟁력이 한국의 턱밑까지 쫓아와 한국의 주력 수출시장을 잠식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대중국 우위품목인 반도체ㆍ자동차 등은 제품 차별화와 연구개발 투자 강화가, 기계ㆍ철강 등 경합 품목에 대해서는 상품의 고부가가치화와 생산기지 전환이 요구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업종별 대응전략을 요약한다. ◆ 반도체 현재 D램 분야에서 우리가 절대우위를 갖고 있지만 대중국 수출도 활발하지 않은 편이다. 중국경제의 디지털화 촉진으로 유발될 반도체 수입수요 증대를 감안, 수출증대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다만 비메모리 등 일부에서는 경합 중인 분야도 있고 최근 중국의 반도체 생산 및 수출ㆍ시장규모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를 통해 경쟁력 우위를 계속 유지해야 한다. ◆ 전자 지난해 중국의 전자산업 생산액이 우리의 1.34배, 수출은 1.32배 규모로 성장하면서 이미 한국을 따돌렸다. 중국은 유선전화기ㆍ라디오카세트ㆍ램프ㆍ조명기구 등에서 절대우위를, 팩시밀리ㆍ컴퓨터 입출력장치 등에서도 우위를 보이고 있다. 한국이 경쟁우위에 있는 박막액정표시장치(TFT-LCD) 등은 고급화로, TV와 VTR 등 경쟁력이 열위에 있는 제품은 고부가가치화(디지털가전) 및 시장차별화, 현지투자 강화 전략으로 각각 대응해야 한다. ◆ 석유화학 중국은 한국 석유화학제품의 최대 수출시장으로 일부 품목을 제외하고 한중 경합관계는 심각하지 않다. 수출규모에서 23배, 미국시장 점유율도 24배로 중국에 비해 절대우위에 있지만 외국인의 직접투자 유치를 강화하고 있어 오는 2010년까지 중국의 생산능력이 확대되면 경쟁관계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중국 기술제공과 증설 참여를 통해 현지 기업과 동반자적 관계를 형성하는 한편 우리 기업이 공동으로 중국에 진출하거나 중국 공기업에의 지분참여도 필요하다. ◆ 자동차 앞으로 5년 동안 중국이 자동차 수출을 본격화하기는 어렵지만 저가부품을 위주로 한 한국으로의 수출은 늘어날 전망이다. 완성차에서는 중ㆍ단기적으로 현지업체와의 합작조립 생산을 통한 진출을 모색하는 한편 중국시장을 놓고 세계 메이저 회사와 경쟁할 수 있는 브랜드 이미지 구축이 과제다. ◆ 조선 전반적으로 한국이 우위를 점하고 있고 격차가 커 보완관계도 없지만 2005년 이후 중국이 조선시설을 확충하게 돼 경쟁이 가열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보기술(IT) 접목을 통한 생산성 및 기술력 제고, 지능형 자율운항 시스템 개발 등의 전략을 추진하고 기술유출을 방지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 철강 생산량과 수출규모 등에 있어 중국이 우위를 보이지만 가격과 품질을 고려할 경우 한국이 아직 우위에 있다. 중국의 추격은 특히 열연강판과 석도강판ㆍH형강 등에서 빨라지고 있다. 양국간 수출입이 모두 증가하고 있어 보완관계가 증대될 것으로 보이며 고급강기술 및 광산개발 참여 등을 통해 중국에 대한 투자도 늘어날 전망이다. 신기술과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동시에 기술 및 인적 교류, 전략적 제휴 등을 통해 통상마찰을 예방하는 활동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기계 경쟁이 가장 심한 산업 중의 하나로 중국은 미국과 일본시장에서의 점유율도 한국보다 앞서면서 다소 우위를 보이고 있다. 특히 35㎜사진기에서 절대 우위를, 스크루와 볼트ㆍ밸브 부분품ㆍ현금처리기 등 사무기기 등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 공작기계나 금형 등 비교우위 분야에서 적극적인 마케팅을 벌이는 한편 중국에 대한 직접투자를 확대해 수직ㆍ수평적 분업, 발전기자재시장 진출 등이 필요하다. ◆ 섬유 앞으로 중국 수입의존도가 심화될 전망이다. 다만 화학섬유ㆍ직물과 인조섬유 직물의 경우 한국이 경쟁우위를 갖고 있는 만큼 중국진출을 확대하고 중국이 우위인 제품의 경우 합작과 협력을 시도해야 한다. ◆ 신발 중국이 한국에 비해 생산에서 20배, 수출 12.4배, 미국시장 점유율에서는 무려 69배 수준으로 대중국 수출은 줄고 수입은 늘어나는 구도가 된다. 기능성 고급제품으로 차별화하는 한편 다품종 소량생산체제를 갖춰야 한다. 권구찬기자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