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단이 3일 C&중공업과 C&우방에 대한 채권단공동관리(워크아웃) 개시를 결정함에 따라 일단 두 회사의 회생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러나 본격적인 회생 절차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실사’라는 관문을 통과해야 한다. 약 2주 후에 실시될 실사에서 두 기업의 존속가치가 청산가치 보다 높아야만 경영정상화를 위한 워크아웃이 개시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C&중공업과 C&우방이 워크아웃 승인을 받으려면 C&그룹 차원에서 자구노력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내년 2월까지 채무상환유예= C&중공업 채권단은 이날부터 워크아웃 작업을 개시해 내년 2월13일까지 채권 행사를 유예키로 했다. 이에 따라 C&중공업은 2개월 정도 자금 압박에서 벗어나게 됐다. 또 채권단이 1주일 내로 C&중공업이 요청한 긴급 운전자금 150억원을 지원하기로 결정하면 자금난에도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만약 자산 및 부채 등에 대한 실사 후 계속기업으로서의 가치가 인정되면 경영정상화 방안을 수립해 본격적으로 기업개선 작업에 나서게 된다. 이렇게 되면 C&중공업이 요청한 시설자금 1,450억원 지원과 8억7,500만 달러의 선수금환급보증(RG) 발급도 이뤄질 수 있다. ◇채권기관 합의가 관건= 채권단이 워크아웃절차를 시작하기로 결정했지만 본격적인 자금지원과 경영정상화 방안이 시작되기 위해서는 실사결과가 관건이다. 실사 후 채권단은 제 2차 채권단 협의회를 열어 최종 워크아웃 진행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여기서 채권단이 워크아웃을 진행키로하면 추가지원 등이 가능하지만, 만약 채권단이 경영정상화 방안이나 대규모 신규 자금 지원에 반대하면 워크아웃은 불가능하다. 만약 워크아웃에 대한 최종 승인이 나지 않는다면 C&중공업과 C&우방에 대한 담보물 압류와 경매 등 법적 절차가 진행된다. 이 경우 두 회사는 법정관리를 신청하거나, 제3자 인수 혹은 청산 절차를 밟아야 한다. C&중공업의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은 2,274억원의 대출 가운데 1,635억원에 대해 담보를 갖고 있으며 채권액 비중이 51.5%인 메리츠화재도 RG보험 중 상당액을 재보험에 가입했다.이 두 금융기관만 신규 자금지원에 반대해도 워크아웃으로 이어질 수 없는 것이다. 업께 한 관계자는 “전체적으로 약 1조3,000억원(8억7,500만 달러)에 달하는 RG 발급 등 막대한 자금 지원이 필요해 채권금융기관으로서는 부담을 느낄 수 있다”며 “실사 후 채권단 협의회가 열리기까지 C&그룹이 얼마나 획기적인 자구노력을 하느냐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C&그룹 “자구노력 강화”= C&그룹은 채권은행공동관리(워크아웃) 절차를 개시키로 한 결정을 크게 반기면서, 자구노력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C&그룹 한 관계자는 “채권단이 워크아웃절차 개시를 결정한 것은 두 회사의 회생가능성을 인정해 준 것이어서 감사하고 환영한다”며 “앞으로 실사 등 워크아웃 승인이 완료되기까지의 모든 절차에 적극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C&그룹은 그 동안 진행해왔던 계열사 매각 등도 채권단과 협의해 진행할 방침이다. 특히 채권단이 워크아웃 작업의 일환으로 C&그룹에 강도 높은 구조조정과 함께 자산매각에 대한 측면지원에도 나설 것으로 보여 자금확보를 위한 계열사 매각 등이 더욱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C&그룹은 현재 우방ENC, C&중공업 철강사업 부문, C&라인 등을 매물로 내놓았고, 한강유람선 사업자인 C&한강랜드도 공개 매각키로 했다. 또 국내외 금융컨소시엄과 진도에프엔 주식 330만주, C&우방랜드 주식 177만주를 양도담보자산으로 400억원을 차입하는 등 총 1,800억원의 자금을 조달하는 약정을 맺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