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셀트리온의 위기가 단순히 일개 벤처회사의 위기로 끝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벤처 성공신화의 주인공인 셀트리온이 구조적인 공매도 공격으로 좌초한다면 대한민국의 어떤 벤처회사도 똑같은 위험에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벤처기업뿐이 아니다. 기업과 기업인 모두가 나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정부는 기업에 설비와 연구개발(R&D) 투자에 적극 나서라고 권고하지만 셀트리온만큼 투자에 전력을 기울인 회사도 흔치 않다.
셀트리온의 위기는 또한 창조경제의 위기에 다름 아니다. 창조경제가 애매모호하다는 수많은 지적에도 탄력을 갖고 있는 이유가 무엇인가. 박근혜 대통령의 남다른 관심도 관심이지만 노후화하는 중후장대형 산업구조로는 더 이상의 지속적 성장이 어렵다는 사실을 폭넓게 공감하고 있기 때문이리라. 창조경제의 착근을 위해서도 셀트리온을 이대로 방치해서는 안 될 일이다. 남들이 하지 않는 영역에서 열정과 창의력으로 세계적으로 주목 받는 기업을 일궈냈다면 그것이 바로 창조경제이기에 그렇다.
이제는 정부가 나서야 할 때다. 우선 투기세력의 정체부터 규명할 필요가 있다. 2년간 매일같이 증권시장 마감 직전인 오후2시43분부터 공매도가 시작됐다면 분명한 의도를 가진 투기세력이 있다고 봐야 마땅하다. 국내외 투기세력이 누구인지는 이미 공공연한 비밀이며 개인투자자의 손실도 목전에 왔건만 이를 모른 척하는 증권감독 당국을 이해할 수 없다. 공매도세력의 집요한 공격을 폭로한 서정진 회장의 기자회견 이후 투기성 공매도가 더욱 많아졌다는 점은 국내외 투기세력이 한국의 증권감독 당국을 얼마나 무시하는지를 말해주는 대목이다. 이들을 놓아둔다면 증권감독 당국의 직무유기를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더욱이 박 대통령이 작전세력 발본색원을 여러 차례 강조한 마당이다. 작전세력 근절을 위해서도 셀트리온에 대한 투기성 공매도세력을 가려내야 마땅하다.
공매도 투기세력이 논란의 대상이 된 이상 이대로 놓아둘 수도 없는 노릇이다. 금융강국인 영국도 11년 전 조지 소로스를 비롯한 국제 투기세력의 공격으로 파운드 위기를 겪었다. 코스닥 대장주식을 투기세력이 갖고 노는 시장이라면 제2, 제3의 셀트리온 사태는 물론이요, 주식과 외환시장 전체가 공격의 대상이 될 수도 있다. 차제에 한국 정부는 투기세력의 준동을 결코 좌시하지 않는다는 신호를 보여줘야 한다.
언론도 자제할 필요가 있다. 이번 사태를 제2의 황우석 사태와 비교하는 일부 언론은 개탄스럽다. 전세계를 통틀어도 셀트리온 정도의 생산시설과 기술을 갖춘 바이오시밀러 업체는 드물다. 바이오시밀러시장에 뒤늦게 끼어든 일부 대기업이 셀트리온의 핵심 인력을 빼간다는 소리도 그 기술력이 뛰어나다는 반증이다. 중소ㆍ중견기업 보호육성과 경제민주화 차원에서도 정부는 셀트리온 사태를 다시 봐야 한다.
창조경제의 싹을 투기세력으로부터 지키기 위해서도, 증시 작전세력과의 전쟁을 위해서도, 경제민주화 차원에서도 셀트리온의 위기는 진정돼야 한다. 수많은 투자자를 보호하는 길도 여기에 있다. 정부는 더 이상 수수방관하지 말라. 특히 증권감독 당국은 확고한 태도를 보여야 한다. 셀트리온의 대주주는 물론 국내외 투기세력 모두를 포함하는 조사방침이 조속히 나오기를 바란다. 그게 투자자와 시장, 기업과 국민경제, 정부를 살리는 길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