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특파원 칼럼] 양안(兩岸)의 화이점동(和而漸同)

"서로가 자꾸 교류하다 보면 자연스레 통일로 가는 게 아닙니까." 최근 중국의 한 지인이 중국과 대만의 가속화하는 통합 과정을 두고 한 말이다. 양안(兩岸)은 지난해 6월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데 이어 오는 4월에는 대륙인 개인의 대만 관광을 전면 허용한다. 정치체제 빼고는 경제ㆍ인적 등 사실상 모든 통합이 이뤄지게 돼 중국이 외쳐온 '1국가 2체제'가 완성돼 가는 셈이다. 실로 인적 교류의 성장세는 이미 눈부시다. 대만 관광이 허용된 지난 2008년 5만명이던 중국인 관광객 수는 2009년 60만명으로 급증했고 지난해는 117만명으로 껑충 뛰었다. 여기다 사업ㆍ유학 등 다른 목적으로 대만을 방문한 인원수가 지난해만 50여만명에 이른다. 중국은 지난해 자국에 유리한 농산품 시장개방 요구를 포기하면서까지 협상 5개월 만에 대만과의 FTA를 서둘러 마무리 지었다. 대만의 대중 경제 의존도를 높여 장기적으로 양안의 통합을 도모하겠다는 정치적 의지의 표현이었다. 중국 내에서 양안 FTA 체결을 '중국식 햇볕정책'이라고 부르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중국의 개혁ㆍ개방을 이끈 덩샤오핑이 1997년 홍콩반환시 1국가 2체제 개념을 도입한 것도 향후 양안의 통합을 염두에 둔 것이었다는 게 실감나는 대목이다. 중국 내 공항에 가면 어디에나 대만행 손님은 홍콩ㆍ마카오 손님과 같은 그룹으로 분류돼 수속 절차를 같이한다. 대만을 자국의 1개 성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대학은 대만 학생을 홍콩 학생처럼 따로 분류해 입학시험시 별도의 쿼터를 두는 등 특혜를 준다. 중국에게 대만은 냉전의 뼈아픈 산물이기도 하다. 미국은 '하나의 중국'을 인정한다면서도 대중 견제와 아시아 패권 유지를 위해 첨단 미사일 등 막대한 규모의 군사무기를 대만에 지속적으로 판매하고 있다. 1월 미중 정상회담에서도 드러났듯 대만문제는 양국 간 해결난망한 군사안보 문제로 두고두고 갈등의 핵을 이룰 것이다. 그럼에도 중국은 실질적인 대만과의 통합을 가속화하며 냉전의 유물을 하나씩 하나씩 녹여내고 있다. 중국인이 외교관계를 표현할 때 흔히 쓰는 사자성어 중 화이점동(和而漸同)이란 것이 있다. 사이좋게 화합하면서 점점 같아진다는 뜻으로 최근 양안 정세가 이 같은 형국이다. 교류는커녕 군사긴장이 계속되는 한반도와는 선명히 대비된다. 남북관계가 경색되면서 북중 경제교류는 심화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380톤의 지린성 훈춘 석탄이 북한 나진항을 거쳐 상하이로 향했다. 중국이 전략 경제개발구로 육성하는 동북3성의 물자를 태평양으로 실어 나를 수 있는 동해 길을 사상 처음 열어젖힌 것이다. 8일 남북대화를 위한 군사 실물회담이 열렸다. 화이점동을 위한 첫 행보이기를 기대해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