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전이(轉移)를 막는 유전자(KAI1)를 국내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 암이 신체의 다른 장기나 조직으로 번지는 것을 직접 차단하는 유전자를 발견했다는 점에서 앞으로 신걔념 항암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 생명과학부 백성희 교수팀은 몸 속에 있는 ‘KAI1’ 유전자가 ‘Tip60’과 ‘베타카테닌’이라는 두 가지 단백질과 각기 작용, 암 전이를 억제하거나 전이를 촉진시키는 메커니즘을 동물실험을 통해 규명했다고 13일 밝혔다. 연구논문은 14일 발간되는 영국의 유명 과학저널 네이처(Nature)지에도 실렸다. 논문에 따르면 연구팀이 전이단계 전립선암세포주(LNCaP)와 여기에 KAI1 유전자를 넣은 새로운 세포주(KAI1/LNCaP)를 각각 쥐에 주사한 결과 KAI1 유전자가 들어 있는 세포주를 투여한 쥐는 KAI1 유전자가 없는 세포주를 넣은 쥐보다 암세포가 폐로 전이되는 빈도가 눈에 띄게 줄었다. KAI1 유전자 유무에 따라 암 전이 양상이 다른 이유는 정상 쥐에서는 Tip60 단백질이 KAI1 유전자의 암 전이 억제기능을 도왔지만 전이단계 쥐에서는 Tip60 단백질이 줄어드는 대신 베타카테닌 단백질이 늘어나면서 KAI1 유전자의 기능을 떨어뜨렸기 때문이라고 연구팀은 분석했다. 인체 내 베타카테닌이 늘어나면 Tip60이 줄어 KAI1 유전자가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함으로써 암 전이 촉진현상이 발생하는 반면 베타카테닌이 줄어들면 Tip60이 늘어나 KAI1 유전자가 암 전이 억제기능을 한다는 것. 백 교수는 “앞으로 KAI1 유전자의 단백질 조절 메커니즘을 활용해 항암제를 개발하면 암 전이를 막는 길이 열릴 수 있다"며 "모든 암의 마지막 단계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암 전이를 직접 차단할 수 있는 표적을 제공했다는 데 이번 연구의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