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8일부터 시작되는 임시국회를 앞두고 미디어 관련 이슈가 부각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정책에 따라 수혜가 기대되는 종목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시장에서 주목하는 주요 미디어 관련 이슈는 ▦지상파 의무 재송신 확대 ▦KBS 수신료 인상 및 광고 축소를 통한 공영방송 기능 강화 ▦MBC 민영화 ▦방송채널사용업자(PP)와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에 대한 규제 완화 등이다.
지난달 28일 남경필 새누리당 의원은 현행 KBS1ㆍEBS로 한정돼 있던 지상파 의무 재송신 채널 대상을 KBS2ㆍMBC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골자로 하는 '방송법과 인터넷TV(IPTV) 개정안'을 발의했다.
남 의원의 안대로 지상파 의무 재송신 채널 대상이 확대될 경우 지상파 방송사인 SBS와 스카이라이프ㆍSK브로드밴드 등 유료방송사업자들의 반사이익이 예상된다.
이우승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2일 이와 관련해 "지상파 의무 재송신 채널이 확대되면 SBS 단독으로 협상을 해야 하기 때문에 지상파 진영의 협상력 약화라는 부정적인 측면이 있을 수도 있지만 유료방송사업자들의 실시간 재송신 수수료 부담이 줄어들기 때문에 이들과의 적극적인 협상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SBS의 경우 현 지상파 방송 재전송료(CPS) 월 280원이 유지될 경우 올해 서울ㆍ경기 권역을 대상으로 한 실시간 재송신 대가 수익은 146억원으로 전년 대비 23% 정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스카이라이프ㆍ현대HCNㆍ티브로드 등 협상이 완료되지 않은 업체들을 제외한 것으로 협상 완료 시에는 23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연구원은 "올해는 의무 재송신 확대와 관련된 개정안 처리가 불확실해 CPS 280원이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면서도 "향후 기존의 가입자당 과금 방식, 개별 협상에 따른 금액 산정, 가입자 증가에 따라 CPS를 낮추는 방식 등 다양한 논의가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상파 의무 재송신 채널 확대는 케이블TVㆍIPTVㆍ위성방송 등 유료방송사업자들에게도 호재다. 단순하게 계산하더라도 KBS2와 MBC가 의무 재송신 채널로 지정될 경우 지상파 재전송료가 3분의1로 줄어들기 때문이다. 특히 디지털 유료방송가입자가 빠르게 늘어나는 상황을 감안하면 그 효과는 시간이 지날수록 커질 것으로 보인다.
유진투자증권에 따르면 스카이라이프의 경우 "정부가 지상파 의무 재송신 채널을 현행대로 유지한다고 가정할 때 올해 지상파 재전송 수신료로 지불해야 하는 금액은 329억원이지만 KBS와 MBC를 모두 의무 재송신 대상에 포함시킬 경우 수수료가 110억원으로 줄어든다"고 분석했다. 이렇게 될 경우 스카이라이프의 올해와 내년 영업이익 전망치는 기존 대비 각각 14%와 10.4%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SK브로드밴드의 경우에도 지상파 재송신 채널이 확대될 경우 올해와 내년 영업이익 추정치가 기존 대비 각각 9.3%와 9.0%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현재까지는 KBS2만 의무 재전송 채널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MBC의 경우 아직까지 공영방송인지 민영방송인지 성격 구분이 모호하기 때문에 향후 이에 대한 논의가 진행된 후 구체적인 내용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최근 정치권에서 얘기가 나오고 있는 KBS 수신료 인상 이슈도 방송 관련주의 이익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경재 방송통신위원회 내정자는 지난달 25일 KBS 수신료 인상이 필요하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KBS 수신료는 지난 1981년 2,500원으로 인상된 후 30년 이상 변화가 없어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KBS2가 의무 재전송 채널에 포함되고 수신료 인상까지 이뤄질 경우 앞으로 광고 수익을 줄이는 문제가 논의될 가능성이 크다. 전체 TV 광고 시장에서 16%를 차지하고 있는 KBS의 수신료 인상 여부와 인상 폭, 이에 따른 광고 비중 변화는 지상파ㆍ종합편성채널ㆍPP의 수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된다.
유진투자증권에 따르면 KBS의 광고 수익이 50% 줄어들고 이를 방송 광고 시장이 모두 흡수한다고 가정할 경우 SBS의 매출액은 68.2%, 영업이익은 59.7%나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또 케이블TV 사업자인 CJ E&M의 매출액도 44.3%, 영업이익은 38.8% 늘 것으로 예상된다.
이 외 SO 및 PP 사업에 대한 정부 규제 방침 변화도 방송 시장 경쟁 구도에 큰 영향을 끼칠 변수로 꼽힌다. 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후보자는 지난달 31일 "SO의 시장점유율 규제를 완화해 방송 구역을 확대하고 PP의 난립을 막기 위해 현행 자본금 규모 기준을 상향 조정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른 가장 큰 수혜주는 CJ E&M이 꼽힌다. CJ E&M은 현재 전체 PP 대비 매출액 비중이 30%를 넘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