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김장우프로 골프 119]

[김장우프로 골프 119]짧은 클럽 정확도 높이기 골프 샷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쭉쭉 뻗어가는 환상적인 드라이버 샷, 온 그린이 척척되는 아이언 샷, 핀 옆에 바짝 붙는 그림 같은 어프로치, 단 한번에 홀인 시키는 초정밀 퍼팅. 이 모든 것이 다 된다면 더 바랄 것이 없겠지만 두 가지 이상 잘 되는 법이 없는 것이 바로 골프의 속성. 때문에 어느 것 하나라도 확실하게 자기 것으로 하는 것이 상책이다. 필자는 보통 아마추어 골퍼들에게 7번 이하의 짧은 아이언 샷을 익히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한다. 드라이버를 비롯한 우드 샷이나 롱 아이언 샷의 경우 거리나 방향이 당초 생각에 미치지 못했다 하더라도 버디나 파의 기회는 얼마든지 남아 있을 수 있지만 7번 아이언 이하의 짧은 아이언 샷의 경우는 자칫 실수하면 파는 고사하고 때로는 보기도 쉽지 않은 상황을 만들어 내기 때문이다. 짧은 클럽은 샤프트의 길이가 짧아 스윙을 하는 원호의 길이가 짧고 클럽헤드가 몸에 가깝게 움직이기 때문에 일관성 있는 스윙궤도만 확보해주면 정확하게 볼을 임팩트 시켜 원하는 탄도와 거리, 방향을 낼 수 있다. 로프트 각도가 커서 볼에 스핀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볼을 그린에 떨어뜨린 뒤 곧바로 세울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짧은 아이언 샷을 일관되게 하는 방법을 익혀 보자. ■어드레스=짧은 아이언 샷의 성패는 어드레스 자세에 달려있다. ①양팔의 긴장을 충분히 푼다. 양팔이 경직되면 스윙리듬이 부드럽지 못하고 몸 전체가 긴장되면서 스윙동작이 단절된다. ②왼팔을<사진1>처럼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늘어뜨린다. 어드레스때 팔의 모양을 보면 짧은 아이언의 경우 수직으로 자연스럽게 늘어뜨려 펴고, 스윙을 하는 동안 가능한 한 왼팔이 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롱 아이언과 드라이버의 경우는 양팔을 볼을 향해 약간 뻗어 주는듯한 느낌을 갖는 것이 좋다. ③오른 팔꿈치를 옆구리쪽으로 약간 틀어 팔꿈치가 자연스럽게 조금 구부러지도록 한다. 오른 팔꿈치를 옆구리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틀어 구부리고 어드레스를 하면 오른쪽 어깨가 자연스럽게 낮아지며 백스윙 때 팔꿈치를 몸에 붙여 굽히기가 쉽다. ④짧은 클럽은 긴 클럽에 비하여 몸을 더 숙이게 되는데 이때 어깨나 무릎을 더 많이 구부려서는 안된다. 평소 어드레스 자세에서 엉덩이를 뒤로 더 빼면서 허리를 숙인다. ■스윙=①목표와 직각이 되도록 스탠스를 취한다. 셋 업을 하고 스윙을 하기 위한 어드레스 자세를 취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얼라이먼트를 정확하게 하는 것이다. 목표선상과 볼을 잇는 지점의 지형지물이나 장애물(디보트 혹은 루스임페디먼트등)을 이용하여 클럽헤드가 정확하게 목표를 향하도록 한다. ②홀까지의 거리, 볼의 위치 등을 고려해 스윙의 크기, 볼의 탄도와 낙하지점 등을 상상한다. 정확도가 생명인 샷 이므로 신중하게 체크하고 집중해서 생각해야 한다. ③하체를 고정시킨다. 거의 모든 트러블 샷을 할 때처럼 하체 움직임은 적은 것이 좋다. ■클럽선택 조언 한마디=짧은 클럽은 볼의 탄도와 거리를 컨트롤하기가 쉽다. 그러므로 핀에 붙이려고 할 때 실제 그 거리에서 쓰는 클럽보다 1클럽정도 긴 것을 선택해 부드럽게 스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Golfsky.com 헤드프로, prokpga@golfsky.com ,비발디연습장 소속입력시간 2000/11/15 18:37 ◀ 이전화면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