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생체실험을 자행한 일제의 세균전 부대 '731부대' 문제에 대해 미국은 자국 이익을 위해 은폐했고 일본 정부와 의학계는 책임을 외면하면서 반성의 뜻을 보이지 않고 있다고 한 일본 의학자가 지적했다.
아자미 쇼조(사진) 일본 성북병원 명예원장은 14일 동북아역사재단 주최로 재단 대회의실에서 열린 '일본군 731부대의 교훈과 기억의 공유' 국제학술회의에서 '731부대: 그 은폐가 남긴 것'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일본의 양심적 의학단체 '15년 전쟁과 일본의 의학의료연구회' 명예간사장인 아자미 원장은 "미국은 전범으로 고발해야 마땅한 731부대 관계자를 냉전시대 협력자로 만들고자 전범에게 면죄부를 주고 그들이 가진 세균전 등의 노하우를 얻으려고 731부대의 존재 자체를 은폐했다"고 비판했다.
당시 일본 점령군이던 미국은 일본이 2차대전을 치르면서 731부대를 통해 습득한 세균전 관련 지식을 손쉽게 확보하고 관련 정보가 소련의 손에 들어가는 일을 막고자 전쟁 직후 731부대의 존재를 숨겼다는 뜻이다.
다만 미국의 일부 의학자가 세계의사회 회의에서 731부대 문제에 관한 일본의사회의 해명을 요구하는 결의안을 지속적으로 제출하는 사례는 미국 의학계에도 이 문제와 관련한 양심이 움트는 징후라고 아자미 원장은 평가했다.
그는 일본 정부 역시 731부대 문제에 대해 오늘날까지 "정부가 관여할 수 없는 문제"라고만 답하며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731부대 출신 군의관 등 간부 전원이 각 대학 의학부나 연구기관 간부로 복귀했다"며 "일본 정부, 각 전문의학회와 대학 의학부는 731부대 관계자들이 전범으로 몰리지 않은 입장에서 그들을 받아들이는 것을 추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여러 의사가 731부대에서 시행한 인체실험 등의 실험성적을 학회지에 발표했고 이를 논문으로 제출해 학위를 받은 의사도 많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교토대 출신 의사가 731부대 연구진의 주축이었음을 알리는 전시물을 대학 측이 올해 초 철거해 논란을 일으킨 사건을 거론하면서 "731부대에 대한 진솔한 반성이나 의료윤리의 관점에서 간과할 수 없는 사건"이라고 말했다.
아자미 원장은 "뉘른베르크 판결 이후 독일의학회의 반성 및 의학윤리 확립 과정과 일본의 태도를 비교 검토하는 것은 오늘날 특히 일본 의학계에 매우 중요한 과제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