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소재ㆍ부품산업이 대일 무역수지 적자와 중국의 추격으로 고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에서 발표한 소재ㆍ부품 무역 패턴 변화의 명과 암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대일본 소재ㆍ부품 무역수지는 2007년 188억7,000만달러에서 지난해 221억7,000만달러로 늘어났다. 한국의 산업경쟁력 제고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소재ㆍ부품의 대일 경쟁력은 크게 개선되지 못한 채 무역수지 적자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대일 무역수지 적자는 소재 및 부품 분야 모두에서 지속됐다.
중국에 대해서는 소재ㆍ부품 수입 의존도가 늘어났다. 국내 중국산 소재ㆍ부품의 수입 비중은 2007년 23.8%에서 올 상반기 26.8%가 됐다. 국제무역연구원 관계자는 "중국은 일본을 제치고 우리나라에 가장 많은 소재ㆍ부품을 파는 나라로 올라섰다"며 "반도체ㆍ디스플레이 등 정보기술(IT) 부품을 중심으로 중국 현지에 진출한 우리 기업의 수입이 늘어났기 때문이지만 중국 IT 부품 경쟁력도 급속도로 상승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중국ㆍ일본과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은 국내 소재ㆍ부품산업 경쟁력 자체는 향상되고 있다. 2000~2012년 수출은 연평균 10.1% 증가한 반면 수입은 7.2% 느는 데 그쳐 무역수지 흑자 규모가 늘었다. 소재ㆍ부품 무역특화지수도 2007년 0.12에서 올해 0.23으로 상승했으며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약했던 소재 무역특화지수도 같은 기간 0.02에서 0.14로 상승했다. 무역특화지수는 상품의 수출액과 수입액 등을 이용해 상품의 비교우위를 나타낸 지표로 0~1 사이면 수출이 앞서 국제경쟁력이 강하다는 의미며 -1~0 사이면 수입이 앞서 국제경쟁력이 약하다는 의미다.
제현정 연구위원은 "대일 무역적자 개선을 위한 경쟁력 제고에 중점을 둔 우리 소재ㆍ부품 육성정책을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까지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