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로터리/11월 25일] 포정해우

소를 잡는 신기에 가까운 기술을 갖고 있어 이 방면에 도통했다고 소문난 포정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무려 19년 동안이나 칼을 갈지 않아도 여전히 그가 사용하는 칼의 날은 전혀 무뎌지지 않았다니 과연 신기다. 소 한 마리쯤은 눈 깜짝할 사이에 해치웠다. 어찌나 능수능란했던지 손을 놀리는 품새나 어깨 위에 둘러매는 동작, 발을 내디디고 무릎으로 밀어치는 자세, 살점을 쪼개는 소리, 칼로 두들기는 소리가 마치 뽕나무 숲에서 춤을 추듯 음악에 맞고 조화를 이뤘다. 장자의 양생주편이 전하는 일화 중에 포정이 문혜군을 위해 소를 잡은 일이 있었다. 포정의 솜씨를 보고 감탄한 문혜군이 말했다. "정말 훌륭하도다. 어찌 사람의 품새라 하겠는가." 그러자 포정이 대답한다. "소인은 항상 도(道)를 위해 몸 바쳤습니다. 도는 단순한 기술보다 위에 있습니다. 제가 처음 소를 잡았을 때는 소 전체가 눈앞에 보였습니다. 3년 정도 지나니 소가 보이지 않게 됐습니다. 지금은 눈으로 보지 않고 마음으로 봅니다. 즉 육감의 지배를 받기보다는 오직 마음으로 일하지요. 그래서 소의 신체구조를 따라 뼈마디와 마디 사이로 칼날을 놀립니다. 자연히 살점과 심줄은 건드리지도 않고 큰 뼈를 다치지도 않지요." 그는 사용하는 식칼을 바꾸는 횟수에 따라 세 부류로 나누었다. 숙달된 고수는 식칼을 1년에 하나씩 바꾸고 보통 기술자는 한 달에 한 번씩 바꾼다. 고수는 고기를 베고 보통 기술자는 고기를 썰기 때문이다. 그러나 포정 자신은 이 식칼을 19년 동안이나 사용했으며 지금까지 수천 마리의 소를 잡았지만 단 한 번도 칼을 바꾸지 않았다고 했다. 비결은 뼈마디에 있는 틈새로 얇디 얇은 식칼의 날을 밀어 넣는 데 있다고 했다. 때문에 그가 사용하는 칼의 칼날은 언제나 숫돌에서 갓 갈아낸 것처럼 예리했다고 한다. 오늘날 포정은 요리사의 대명사로 사람들 사이에서 널리 회자되고 있고 포정해우(庖丁解牛)의 고사(故事)도 여기서 비롯됐다. 오랜 기간 한 분야에 집중하다 보면 도리가 훤히 트여 물 흐르듯 자연스럽게 된다고 한다. 솔거(率去)가 황룡사의 벽에 소나무를 그리자 새들이 소나무에 앉으려다 벽에 부딪쳐 죽었다는 일화나 천리마를 볼 줄 알았던 백락(伯樂)같은 이들이 그런 경지를 보여준다. 자고 일어나면 들리는 것이 매일 똑같은 뉴스다. 난장판이고 이전투구(泥田鬪狗)의 볼썽사나운 모습들이라 한편 답답하고 한편 부끄럽다. 이럴 때 포정이 눈 깜짝할 사이에 소 한 마리를 해치우는 것같이 얽힌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을까. 그래서 그간 우리 서민의 맺히고 시린 가슴을 시원하게 뚫어주는 반가운 소식이 들려왔으면 좋겠다. 솔거나 백락ㆍ포정과 같은 이들의 도(道)가 그리워지는 계절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