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시진핑 "타임워너처럼" 융복합 독려… 미디어 생태계 中에 뒤질판

<하>둥팡밍주 도약서 배워야

SMG서 인수한 둥팡밍주… 모든 방송 플랫폼 확보

IPTV 고객수 세계 1위로

콘텐츠 뒤지는 中미디어기업

막강 자본·제도 지원 힘입어 수익 시스템은 한류 넘어서


지난 2014년 11월 중국 미디어 업계에 지각변동이 일어났다. 현지 최대 미디어그룹인 상하이미디어그룹(SMG) 계열사인 바이시퉁(白視通·BestTV)이 둥팡밍주(東方明珠)를 인수합병해 둥팡밍주의 유료방송 고객 수가 순식간에 8,540만명을 넘어선 것이다. 특히 인터넷TV(IPTV) 고객 수는 세계 1위다. 이 회사는 공중파 TV와 케이블TV, IPTV, OTT 등 현존 기술로 구현 가능한 모든 방송 채널(플랫폼)을 확보했다. 경쟁업종 간 겸업 규제가 강력한 한국에서라면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정윤호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둥팡밍주에 대해 "뉴미디어 채널뿐 아니라 콘텐츠 제작과 판권까지 확보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며 "앞으로 온라인방송과 클라우드 플랫폼까지 개발할 것으로 보인다"고 소개했다.

중국의 방송통신정책은 제2, 제3의 둥팡밍주 탄생을 예고하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위원장을 맡은 '중국공산당 중앙전면심화개혁영도소조'가 2014년 8월 미디어 컨버전스(융복합)를 국가 전략으로 채택하는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방송·통신·활자매체 등 신구 미디어 간 결합을 통해 미국의 뉴스코퍼레이션·타임워너·월트디즈니와 같은 거대 선진 미디어 공룡을 탄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중국 미디어 기업들의 질적 수준은 아직 우리나라에 미치지 못하지만 정부의 강력한 뒷받침에 힘입어 자본 경쟁력은 이미 한류를 넘어선 지 오래다.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중국 방송 시장 규모는 2008년 이후 매년 10%대 성장률을 기록해 내년이면 거의 300억달러(약 36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디어콘텐츠 유통 업체 제이엔터테인먼트의 한 임원은 "중국에선 콘텐츠 기획·제작의 경우 방송통신 채널을 통한 유통에 이르는 전 단계에서 구조적 혁신이 일어나고 있다"며 "드라마 등 개별 콘텐츠 제작 역량 측면에선 우리가 앞서지만 이를 지원하고 수익사업으로 전개하는 시스템은 자칫 중국에 뒤처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우리 미디어 생태계는 '우물 안 개구리'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심상민 성신여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국내 유료방송 시장은 자본의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유통구조가 비합리적이며 열악한 제작환경으로 콘텐츠 빈곤 현상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케이블TV사인 하나방송의 이덕선 대표는 "방송통신 융복합은 거스를 수 없는 세계적 추세"라며 "업계도 이종 플랫폼(채널 등) 사업자 간 제휴와 결합을 활성화하고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IPTV 업체 관계자도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는 말처럼 좋은 한류 콘텐츠를 글로벌 시장에서 상품화해 고부가가치를 낼 수 있는 유통 채널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이미 SK텔레콤이 방송통신 사업자인 CJ헬로비전을 인수해 SK브로드밴드와 합병하는 방안을 공식화했으며 CJ그룹과의 콘텐츠 공급·유통을 위한 제휴를 강화하고 있다. 또 다른 케이블TV 사업자인 현대HCN·씨앤앰 등도 다른 대형 방송통신 사업자와 합종연횡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이들 프로젝트가 실현되려면 먼저 미래창조과학부·방송통신위원회·공정거래위원회의 인가를 각각 받아야 하는데 전문가들 사이에도 첨예하게 입장이 엇갈려 오는 3월 중으로 예상되는 당국의 판단에 귀추가 주목된다. 우선 최우정 계명대 법경대학 교수는 "방송통신 산업은 공익을 목적으로 하는 기간산업"이라며 "특정 대기업에 기간산업 쏠림현상이 생기면 여론의 편파성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미디어 생태계에서 대기업·중소기업 간 불공정성이 심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정회경 서울미디어대학원대 교수는 "엄격한 공익심사를 하는 미국과 같은 선진국에서도 거대 미디어 기업 간 결합은 끝없이 일어나고 있다"며 "미디업 대기업의 사업 확대는 지배력 우려도 있지만 오히려 관련 산업 생태계의 파이를 키워 해당 생태계 조성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제언했다.

/민병권기자 newsroom@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