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장기이식 기다리다 숨지는 환자 하루 5.2명...장기기증희망자 감소

8년새 장기이식 대기자는 2.1배 증가, 장기기증 등록은 절반으로 감소

“옵트-아웃(Opt-out) 제도 도입하고 ‘자기결정권’ 보장해야”

국내 장기이식 대기 환자는 2010년 1만 4,595명, 2014년 2만 151명, 2018년 3만 544명을 기록했다./질병관리본부제공




국내에서 장기이식을 기다리다 숨지는 환자가 하루 5.2명꼴로, 8년 새 곱절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 한국장기조직기증원, 사단법인 생명잇기 등이 9일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국내 장기이식 대기 환자는 2010년 1만 4,595명, 2014년 2만 151명, 2018년 3만 544명으로 8년 새 2.09배 증가했다. 이식 대기 중 사망한 환자도 2010년 962명, 2014년 1,120명, 2018년 1,910명으로 같은 기간에 1.98배 늘었다. 하루 평균 사망자 수로 보면, 2010년 2.63명에서 2018년 5.23명으로 8년 새 2배 가까이 증가한 셈이다.

이는 이식 대기자가 증가하는 만큼 장기기증이 늘지 않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뇌사 장기기증자 수는 2016년 이후 해마다 큰 폭의 감소세를 보여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연간 장기기증 희망등록은 2010년 20만 1,359명에서 2018년 10만 8,016명으로 절반 가까이 감소했다./질병관리본부제공


실제로 연간 뇌사 장기기증자 수는 2010년 268명에서 2016년 573명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2017년 515명, 2018년 449명으로 2년째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그 사이 연간 장기기증 희망등록도 2010년 20만 1,359명에서 10만 8,016명으로 절반 가까이 감소했다.

장기를 이식한다고 해도 일부 장기는 대기시간이 몇 년이나 걸리는 상황이다. 신장이식은 2018년을 기준으로 평균 대기시간이 1,955일(약 5년4개월)이나 된다. 또 심장, 간장, 폐도 이식까지 각각 234일, 155일, 116일을 기다려야 한다.



전문가들은 국내에서 장기기증을 활성화하려면 무엇보다 ‘옵트-아웃(Opt-out)’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옵트 아웃은 뇌사자가 생전에 장기기증 거부 의사를 밝히지 않았다면, 이를 ‘잠정적 동의’로 추정해 사망 후에 이식용 장기 적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도다. 이 제도는 스페인, 프랑스 등 유럽 국가 대부분이 시행 중이다. 반면 한국은 사망 이전에 별도의 장기기증 동의 의사가 없었으면 사망 후에도 장기기증에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는 ‘옵트-인(Opt-in)’ 제도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기증자의 종류와 장단점./한국장기조직기증원 제공


아울러 사전에 장기기증 희망등록을 해놓고도 마지막 단계에서 가족의 반대에 부딪혀 기증에 실패하는 문제를 해결하려면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하는 사회 분위기가 조성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국내에서 장기기증 적합 환자에 대한 가족 동의율은 2014년 52%에서 지난해에는 35% 수준으로 하락했다. 더욱이 가족 중 선순위 동의자가 동의한 이후에 다른 가족이 나서 기증을 철회는 비율도 11.8%에 이른다.

안규리 서울의대 교수(생명잇기 이사장)는 “모든 성인은 뇌사기증 여부에 대해 본인이 사망하기 전에 법적 구속력이 있는 결정을 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면서 “운전면허증 등에 장기기증 희망등록을 명시하고, 뇌사판정 이후 가족이 반대해도 기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자기결정권이 보장되는 방향으로 법률 보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황민아 인턴기자 nomad@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