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말 대전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방사성 물질이 방출돼 하천을 통해 흘러 내린 사고는 시설 운영자의 ’운영 미숙’으로 인한 ‘인재(人災)’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고 원자력안전위원회가 31일 밝혔다. 원자력연은 3개월마다 방사선 수치를 조사하는데 지난해 12월30일 연구원을 관통하는 정문 앞 하천 토양에서 세슘 137 핵종의 평균 방사능 농도가 최근 3년 간 평균에 비해 59배나 많이 검출됐다. 하지만 언제, 얼마나 방출됐는지 제대로 확인하지 못했었다.
원안위는 시설운영자가 필터 교체를 한 뒤 밸브 상태를 점검하지 않은 채 시설을 가동해 오염수가 바닥으로 넘쳤고 시설 외부로 방출됐다고 분석했다. 시설운영자는 한 명이고 교대 근무조는 없었다. 1991년부터 2017년까지 근무했던 시설운영자는 퇴직했고 2017~2018년에는 경력직원이 근무했다. 지난해부터는 새 직원이 이곳에서 일하고 있다.
원안위는 원자력연이 자연증발 시설의 필터를 교체할 때마다 오염수가 50ℓ 정도씩 유출된다는 것도 확인했다. 지난 30년간 2년 주기로 13회에 걸쳐 필터를 교체했다고 가정하면 총 650ℓ 정도의 오염수가 배출된 셈이다. 엄재식 원안위원장은 “자연증발 시설에서 (오염수) 넘침이 있었으며 오염수는 지하 저장조로 간 뒤 외부로 나갔다”며 “더 조사해서 면밀히 파악할 것”이라고 밝혔다.
원안위는 원자력연의 자연증발 시설에서 세슘-137, 세슘-134, 코발트-60 등 인공방사성 핵종방사성 물질이 외부로 방출되는 사고가 발생해 지난 30일자로 자연증발 시설 사용정지 명령을 내렸다. 이 시설에서 방출된 방사성 물질이 연구원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토양을 제염하고 밀봉토록 조치했다. 자연증발 시설은 연구원에서 나온 극저준위(리터당 185베크렐 이하) 방사성 액체 폐기물을 저장한 뒤 증발시키는 건물이다.
원안위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조사팀을 통해 시설에서 가장 가까운 맨홀 토양에서 kg당 세슘-137이 3만1천839베크렐(Bq), 세슘-134은 101베크렐, 코발트-60은 192베크렐 등의 선량을 확인했다고 지난 22일 밝혔다. 조사결과 세슘137 핵종의 평균 방사능 농도가 최근 3년 간 0.432Bq/㎏ 미만보다 59배나 많은 25.5Bq/㎏까지 치솟은 것으로 나왔다. 심지어 일부 토양에서는 방사능 농도가 최고 138Bq/㎏을 기록해 무려 248배나 높았다.
앞서 원자력연은 2011년 하나로에서 방사성물질이 누출되는 사고가 일어나 직원들이 긴급 대피했었다. 2017~2019년에는 허가를 받지 않고 핵연료를 쓰거나 방사성폐기물을 몰래 묻었다가 몇차례 과징금·과태료 처분을 받기도 했다. /고광본선임기자 kbgo@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